•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유아 문화예술교육의 개념과 방향: 유아교육·보육과정 및 정책 분석을 중심으로 (The Concept and Direction of Infant and Early Childhood Arts Education: An Analysi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are Curriculum, and Policies)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2 최종저작일 2025.03
19P 미리보기
영·유아 문화예술교육의 개념과 방향: 유아교육·보육과정 및 정책 분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예술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예술교육연구 / 23권 / 1호 / 223 ~ 241페이지
    · 저자명 : 고진영, 이지영

    초록

    본 연구는 영·유아 문화예술교육의 개념과 방향을 탐색하고, 국가 수준의 교육·보육 과정 및 정책적 흐름을 분석하기 위한 문헌 연구이다. 이를 위해 2019 개정 누리과정과 표준보육과정의 고시문 및 해설서, 문화예술 교육 관련 정책 자료, 그리고 유아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학술 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영·유아기의 예 술 경험은 단순한 활동을 넘어 유아의 전인적 성장과 창의성, 감수성을 촉진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국 가 수준의 교육·보육 과정에서도 예술 경험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만, 문화예술교육이 생 애 전반에 걸쳐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영·유아 교육기관 내에서만 이루어져서는 안 되며, 영·유아의 일상과 주 변의 다양한 기관들과 자연스럽게 연계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또한,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 육은 초·중·고등학교의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에 비해 규모와 예산, 수혜자 수에서 큰 차이를 보이며, 지역별 편차도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문화예술교육의 실행자인 유아교사와 문화예술교육사 간의 협력적 실 행이 점차 감소하고 있으며, 체계적인 지원도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유아 문화예술교육의 발전을 위해서 는 현장에 적용 가능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교사와 문화예술 전문가 간의 협력을 강화할 수 있는 제도적 기 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문화예술교육이 유아의 자율적 탐색과 창의적 표현을 촉진할 수 있도록 전문 인력 양성과 프로그램 개발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유아 문화예술 교육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며, 향후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 literature review that explores the concept and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cultural arts education and analyzes the national-level education and childcare curricula as well as policy trends. To achieve this, the study examines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including their official documents and guidelines, along with policy materials related to cultural arts education and academic research on early childhood cultural arts educat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artistic experiences in early childhood play a crucial role beyond simple activities, fostering holistic development, creativity, and sensitivity in young children. Furthermore, national curricula emphasize the importance of artistic experiences. The study also discusses that for cultural arts education to be effective, it must not be confined solely to the curriculum but should be naturally integrated into children's daily lives. However, compared to cultural arts education programs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early childhood cultural arts education shows significant differ- ences in scale, budget, and accessibility, with regional disparities also evident. In particular, collabo- r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cultural arts educators has been gradually decreasing, and systematic support remains insufficient.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a curriculum that can be effectively implemented in educational settings and the establishment of institutional frameworks to strengthen collaboration between teachers and cultural arts professionals are essential. Additionally, fostering professional expertise and developing diverse programs are critical for promoting autono- mous exploration and creative expression in young children.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is study presents a direction for the advancement of early childhood cultural arts education and highlights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in this fie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