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세기 어영청(御營廳) 창설과 번상급료제(番上給料制)의 성립 (Inception of Eoyeong-Cheong and Establishment of On-duty Salary Payment System in the 17th century)

5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2 최종저작일 2021.03
51P 미리보기
17세기 어영청(御營廳) 창설과 번상급료제(番上給料制)의 성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연구 / 192호 / 121 ~ 171페이지
    · 저자명 : 김현동

    초록

    이 연구는 17세기 조선의 중앙군인 어영군의 번상급료제에 대해 다루었다. 후금과의 군사적 대립 상황 속에서 창설된 어영군은 국내·외 정세변화에 따라 꾸준히 증강되었다. 어영군의 편제, 지휘체계 그리고 군역 운영방식이 체계화된 것은 효종대였다. 북벌을 위한 군비 강화에 착수하면서 중앙군인 어영군의 대대적인 정비가 이루어진 것이다.
    어영청은 속오분군법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고 유사시 외방에 위치한 군사들을 동원하기 위해 지방에 겸파총을 배치하였다. 한편 도성의 장관은 군사 영솔 여부에 따라서 영군장관과 무군장관으로 구분되었다. 영군장관과 무군장관의 운용은 재정지출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의 일환이었으며, 조선 전기의 지휘 시스템이 잔존하였음을 보여주는 사례이기도 하다.
    번상하여 입역하는 정군은 군역 수행을 경제적으로 보조해주는 자보 1명과 관납보 2명을 확보할 수 있었다. 자보는 도성까지 왕래 비용인 행량을 책임졌으며, 관납보는 정군의 도성 체류비용을 지원해주었다. 조정에서는 정군의 안정적인 급료 확보를 위하여 관납보의 납부내역에 운송비나 보관비와 같은 중간비용을 설정하였으며, 납부방식을 상세하게 규정하였다.
    관납보의 창설로 17세기 말이 되면 어영청의 재정상황이 호전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당시 대외정세는 안정화되고 국가재정은 악화일로를 걷고 있었다. 그리하여 어영군의 번상급료제는 중앙군제의 모범사례로 여겨지기 시작했으며, 훈련별대·정초군·금위영군 등 여타 중앙군에도 확대 적용되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bout On-duty Salary Payment System of Eoyeong-Gun(御營軍), one of the central army of Joseon in the 17th century. Eoyeong-Gun, which was incepted in a situation where military conflicts with Later Jin(後金), steadily reinforced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domestic and foreign circumstances. It was during King Hyojong(孝宗)'s reign that Eoyeong-gun's formation, command system, and military serⅤice method were systemized on a large scale.
    Eoyeong-Cheong(御營廳, Eoyeong-gun's headquarters) disposed Gyeompachong(兼把摠) in the proⅤince to take full adⅤantage of Sogobungunbeop(束伍分軍法). The military officers of capital were dⅣided into commanding officers(領軍將官) and non-commanding officers(無軍將官), depending on whether they lead soldier. This was an effort to minimize financial expenditures, and remnant of the command syste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n order to financially assist military serⅤice of Jeong-Gun(正軍, regular soldier), one Jabo(資保) and two Gwan-Napbo(官納保) were assigned to eⅤery Jeong-Gun. Jabo supported expenses for long-distance traⅤel of Jung-Gun and Gwan-Napbo was in charge of Jeong-Gun's proⅤisions. The goⅤernment, which Ⅴalued the issue of paying salaries, included intermediate expenses such as transportation and storage costs in Gwan-Napbo's tax payment details and stipulated the payment method in detail. In the late 17th century, the financial situation of Eoyeong-Cheong improⅤed. Also the external situation stabilized and the national finances aggraⅤated. As a result, Eoyeong-Gun’s On-duty Salary Payment System was regarded as an exemplary case for the central army system and was applied to other central arm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