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범어사 간행 『영사단지』의 성격과 조엄 (Yeongsadanji of Beomeosa Temple and Cho Eo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2 최종저작일 2020.06
27P 미리보기
범어사 간행 『영사단지』의 성격과 조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각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각사상 / 33호 / 227 ~ 253페이지
    · 저자명 : 이정은

    초록

    부산 금정구 범어사는 동래부사 조엄(趙曮, 1719~1777)의 제사를 주목적으로 하여 1808년 『영사단지(永思壇誌)』를 간행하고 같은 해에 그를 기리는 제단과 불망비를 세웠다.
    다만 이 문헌은 조선후기 불교사찰에서 거행된 유교 제향 의식집(祭享儀式集)이라는 단순한 개념을 넘어서는 자료이다. 19세기 초 조선승려의 시각으로 바라 본 사찰경제의 실태는 물론이고 조엄의 조선통신사 수행 활동마저 기록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고찰은 범어사 성보박물관에 소장된 『영사단지』를 처음으로 분석하여, 그에 나타난 내용을 통하여 조선후기 범어사의 단편적 역사를 새롭게 조명하는 글이다.

    영어초록

    Beomeosa temple in Busan wrote a transcribed version of Yeongsadanji(永思壇誌) for the purpose of leaving the public virtue of Cho Eom ((趙曮, 1719~1777), and in the same year they set up a monument for him.
    The main part of the book is about achievements of Cho Eom, who consistently eliminated taxes and forced labor imposed on temples. From the records of Beomeosa village man, Ahn Cheo‐taek and Cho Eom’s descendant, Cho Jung‐rye to Beomeosa monk Lim Chu’s preface and monk Toe‐eun’s epilogue, the achievements of Cho Eom are repeated. It is in contact with the forced labor imposed on Beomeosa, and one of the things to look out for is about paper producing forced labor. It is the most unfair phenomenon because it is mentioned four times with specific amounts, and it is supported by the remains of the cultural assets used in the making of paper (Busan Bomasa Mokjo (釜山 梵魚寺 木槽): a pipe made of wood in Beomeosa Temple (1757)). In addition, monk Lim Chu recorded at the end of this book is presumed to have a clear perception of Joseon Tongsinsain the temple, writing about Cho Eom's Gyemi Dispatch (癸未通信使行) in 1763.
    Yeongsadanji began writing in early July 1808, and finished its production ranging from the actual ritual space to monument in early winter of the year. In the upper right corner of the front cover, Dongrae bu ritual, which is written in ink, shows that it is written in the format of Euigwe (ritual protocol), demonstrating that it is the book that contains the Confucian ritual ceremony held in Buddhist temp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각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