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초 月令의 이해와 국가운영 (Monthly Ordinances and Statecraft in Early Jose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2 최종저작일 2010.12
35P 미리보기
조선 초 月令의 이해와 국가운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사학 / 36호 / 143 ~ 177페이지
    · 저자명 : 한정수

    초록

    본 연구는 조선 초 월령 이해의 배경과 그 내용을 중심으로 조선왕조에서 월령시스템을 어떻게 이해했으며, 그것이 국가운영 원리와 체제에 어떤 기능을 하였는가, 그 의미가 무엇인가를 규명하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1장에서는 고려 말 조선 초 재이의 발생에 대한 이해와 그 대응책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면서 이것이 월령의 이해와 어떻게 연결되었는가를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조선왕조가 월령에 대해 『예기』 월령 그 자체뿐만 아니라 조선의 시후와 현실을 고려하여 새롭게 적용하고자 했음을 살폈다. 3장에서는 농시와 관련한 시후 해석에 있어 월령이 어떻게 이해되었고, 농정에 반영되었는가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시도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조선왕조에서는 재이대책과 관련하여 천인감응론적 재이론의 입장에서 『예기』 월령을 수용, 이해하면서 그 원리를 재이 이해를 위한 규범으로 여긴 면이 있었다. 그 내용 이해와 적용의 편의를 도모하여 월령사목과 「월령도」를 만들어 정치 운영원리로 삼고자 했으며 예제 정비 및 형정과 풍속 관련 政令 운영, 월령관원 설치 등을 통해 월령 시스템을 정착시키려 한 노력도 이루어졌다. 더 나아가 『예기』 월령편의 시후와 조선의 그것이 다름을 파악하고 조선의 현실에 맞는 월령을 제시하고자 하였던 점도 나타났다. 농상에 있어서도 농시 준수를 강조한 월령편의 규정 외에 조선의 시후와 토질, 농법을 고려한 조선적인 월령이 제시되고 있었다. 월령사목이나 「월령도」, 월령관원, 월령천신, 조선적 칠월시와 이시권농 및 역전 등은 월령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보여준 사례라 하겠다. 결국 조선왕조는 월령을 현실에 맞게 조정하면서 월령적 국가운영을 시도하였고, 이는 왕조 안정에 일정한 기여를 하였다 하겠다. 따라서 고려에서 천인감응적 재이 소재의 측면에서 월령을 보다 더 주목하여 자연 질서의 회복을 꾀하였다면 이에 반해 조선 초에는 그 같은 월령을 수용하면서도 조선식 월령으로 편제하여 월별 농사나 형정, 행정, 사전 등에 관심을 기울여 왕도정치의 완성을 위한 한 축으로 삼았다 이해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monthly ordinances and what role it played in agricultural and industrial policies as well as the upkeep of memorial rituals in the reality of the Joseon period by focusing on the contents and background of these monthly ordinances in early Joseon.
    To do so, an investigation is made to find out how a sovereign atoned for and cultivated his virtue as part of a relief measure against natural astronomical disasters, how the ruling class comprehended the monthly ordinances as a response, what attempts were made to apply monthly ordinances toward statecraft, and finally, how monthly ordinances were transformed and applied in agricultural and industrial policies during the Joseon dynasty.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from this research. It has been verified that “Monthly Ordinances” in the Record of Rites was accepted and understood as a relief measure in relation to natural astronomical disasters and, to promote its understanding and make it convenient to execute, created monthly ordinance clauses and the “Diagram of Monthly Ordinances” during the Joseon dynasty. Moreover, this research has reveal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seasonal weather in “Monthly Ordinances” of the Record of Rites and those in Joseon, which is indicative of monthly ordinances having been changed to suit the reality of Joseon. In addition to the regulations emphasizing the farming seasons in “Monthly Ordinances”, Joseon-style monthly ordinances which took Joseon's seasonal weather, soil conditions, farming methods into account is revealed in agriculture and commerce. Ultimately, Joseon dynasty ventured to rule the kingdom through monthly ordinances by adjusting the “Monthly Ordinances”, to suit its own reality, and this contributed somewhat toward making the kingdom stable.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Monthly Ordinances” was executed but restructured in early Joseon to become the pivotal point of perfecting the politics of ruling by virtue by focusing on monthly farming, judicial policies, administration, ritual system, etc. In contrast, Goryeo seems have schemed to recover the order of nature by focusing more on the monthly ordinances in terms of respondency between Heaven and man in matters of natural astronomical disast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