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세기 한 거자(擧子)의 불경 읽기 - 유만주의 『흠영』을 중심으로 - (Buddhist Scripture Reading by One Geo-Ja (擧子) in the 18th Century: Focusing on Heumyeong (欽英) by Yu-ManJu (兪晩柱))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2 최종저작일 2016.12
32P 미리보기
18세기 한 거자(擧子)의 불경 읽기 - 유만주의 『흠영』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방학지 / 177호 / 367 ~ 398페이지
    · 저자명 : 박상란

    초록

    이 글은 거자인 유만주가 불경을 읽은 사건에 주목하여 그 특징 및 의의를 논한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유만주의 삶과 불교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분석 대상은 그가 남긴 일기 『흠영』이다.
    우선 유만주는 불경을 읽었을 뿐만 아니라 초록하여 간행하였으며, 본격적으로 연구하였다. 이와 같은 정밀한 불경 읽기는 그의 박학적 면모 및 사상적 융통성에 기인한 것이다. 다음으로 유만주는 혹세무민의 측면에서 불교를 비판하였지만 그 사상적 가치에 공감하기도 하였다. 사회교화 및 심법의 측면에서다. 또한 그는 고아하면서도 다채로운 불경 문장의 특징에 주목하였으며, 특히 문답법에 의한 전개 방식을 높게 평가했다. 이상 그의 불교관 및 문장에 대한 태도는 유자로서 그의 사상적 면모 및 문학적 관심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유만주는 지극한 불운에 직면해 홀로 슬픔을 감당함으로써 끝내 불도에 귀의하지 않았다. 반불론으로 시작된 그의 불교관이 크게 변하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독서 편력의 일환으로 시작된 유만주의 불경 읽기는 기본적으로 유자로서 사상 및 문장력 확충의 의미가 있다 하겠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considers the features and meanings of a Geo-Ja (擧子) anecdote about Yu-ManJu (兪晩柱, 1755~1788)’s reading of Buddhist scripture. It illumin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Yu-ManJu's life and Buddhism by looking at what he left behind, Heumyeong (欽英).
    Yu-ManJu not only read Buddhism, but also recorded and published it, and studied it earnestly. Although he criticized it, he also sympathized with its ideological value in terms of social education and Dharma of Mind (心法). Moreover, he focused on the plain and vivid features of Buddhist writings. His attitude toward Buddhism and Buddhist writings seems to have originated from his ideological beliefs and his interest in literature. Yet, Yu-ManJu did not come to believe in Buddhism. Despite being faced with extreme misfortunes, his thoughts on Buddhism, which started from an anti-Buddhist stance, did not change much. Thus, Yu-ManJu's Buddhist reading, which was initially an unbalanced form of reading, helped him to expand his ideology and to develop Confucian writing skil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