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90년대 엽편소설 기획·출판의 활성화와 그 의미 (Revitalization of planning and publishing of Yeobpyeon-Soseol(葉篇小說) and the meaning in 1990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2 최종저작일 2021.03
29P 미리보기
1990년대 엽편소설 기획·출판의 활성화와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예비평연구 / 69호 / 109 ~ 137페이지
    · 저자명 : 홍성식

    초록

    1990년대는 80년대를 지배했던 이념과 정치 중심의 거대담론이 해체되어 새로운 주조를 탐색하는 전형기(轉形期)적인 특성을 갖는다. 계급·민족·계몽 대신에 탈계급·탈민족·탈계몽이 자리하면서 거대담론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다양한 파장들이 생겨났다. 문학은 대중문화의 열풍 속에서 일상과 개인의 내면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고 자연, 생명, 여성, 다문화 문제 등으로 주제가 다양화되었다. 90년대 후반기에 접어들면서 서사양식에도 큰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했다. 그 중 하나가 엽편소설의 등장이다.
    이 글에서는 대체로 1996년부터 『작가세계』와 『문학사상』에서 기획한 엽편소설 특집과 같은 시기에 최성각, 박상우, 김소진, 윤대녕, 성석제, 구효서, 이순원, 전은강, 전상국, 박덕규, 하창수 등 출판 붐을 이룬 엽편소설집을 차례로 살펴보았다. 당시 수많은 작품이 발표되었음에도 여전히 연구의 사각지대에 놓인 엽편소설에 대한 관심을 환기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동시에 1920년대 후반기 『조선문단』, 『조선지광』, 『조선일보』 등에서 제기된 장편소설(掌篇小說, 콩트)부터 최근 기하급수적으로 생산·소비되면서 팽창하고 있는 웹 기반의 통칭 초단편소설까지 짧은 서사들에 대한 관계를 규명하는 한 과정이기도 하다. 1990년대 안에서는 80년대 문학과는 다른 자리에 선 엽편소설의 의미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의미를 단적으로 드러내는 물음은 ‘1990년대 후반기 엽편소설은 문학(소설)의 위기 타개라는 기대에 부응했는가’이다. 당시 본격문학의 자리에 올라서진 못한 부동적인 존재였음에도 엽편소설에 기대했던 것은 새로운 대안의 양식이 될 수 있는가 하는 점이었다.
    『작가세계』 특집에는 기성과 신인의 구분 없이 다양한 작가들이 등장했다. 소설가뿐만 아니라 시인들 역시 이 형식적인 실험에 참여했다. 소설과 시 혹은 소설과 수필의 경계에 서 있는 작품들도 보이지만 다양한 실험을 통해 문학에 대한 매우 새로움과 흥미를 소환하고자 하였다. 『문학사상』에서는 형식적인 실험에 흥행(대중성)까지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참여 작가와 주제가 『작가세계』보다 훨씬 다양하고 넓다. 그러나 엽편소설에 대한 양식적 이해가 부재한 가운데 이를 정립하려는 작가적 노력도 미미했다. 문학지의 기획 의도와 발표된 작품 양에 비해 주목할 만한 작품이 너무 적었다.
    또 단행본으로 소개된 엽편소설집에서는 개별 작가의 개성과 경향성이 뚜렷이 드러났다. 사소한 삶 속에서 인생의 의미를 찾는 과정은 공통되나, 그 방향은 매우 다양했다. 성석제는 희화화의 방식을 통해 기존 질서와 권위를 해체하는 과정에서 찾았고, 김소진은 소소한 일상의 의미를 뒤돌아보는 과정에서 찾기도 했다. 세기말과 물신주의를 보다 직접적으로 풍자·비판한 최성각과 전은강, 인간사의 보다 근원적인 문제를 다룬 하창수와 이외수도 주목할 만하다. 그러나 작가 간은 물론 같은 작품집 안에서도 질적인 차이가 상당했다는 점과 각 작가들의 단편과 장편에 비교할 때 엽편소설의 문학성은 현저히 미치지 못한 점 등은 한번 되짚어봐야 할 문제다.

    영어초록

    The 1990s was a time when the metadiscourse centered on ideology and politics was dismantled and a new mainstream was explored. Instead of class, nation, enlightenment, post-class, post-nation, de-enlightenment took place and various trends emerged. Topics such as nature, life, women and multicultural issues have diversified. In the late 90s, the narrative style also changed significantly. This is the emergence of Yeobpyeon-Soseol.
    In this article, I reviewed the special novels of 『Jaggasegye』 and 『Munhagsasang』 and many Collections of Yeobpyeon-Soseol. Various writers such as established and new appeared In 『Jaggasegye』. Not only novelists but also poets participated in formal experiments. There were also works that stood in the middle or between novels and poetry or novels and essays. They tried to bring newness and interest in literature through various experiments. 『Munhagsasang』 was designed from formal experiment to box office success(popularity). The writers and subjects are much wider and more diverse than in 『Jaggasegye』. However, there was a lack of stylistic understanding of the novel and the author's efforts to establish this were also weak. There were too few remarkable works for the amount of work.
    In the Collection of Yeobpyeon-Soseol, the artist's personality and tendency were clearly revealed. The process of finding the meaning of life in a trivial life was common, but the directions were very diverse. Seong Seok-je dismantled the existing order and authority through interest and fun, and Kim So-jin found it in the process of looking back on the meaning of small everyday life.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quality not only between writers but also within the same collection. Also, compared to the writers shorts and novels, Yeobpyeon-Soseol's literary quality was very poo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