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광복군총영 결사대장 박태열의 민족운동 (A Study on National Movement by Park Taeyeol of General Camp of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1 최종저작일 2022.09
31P 미리보기
광복군총영 결사대장 박태열의 민족운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족운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112호 / 53 ~ 83페이지
    · 저자명 : 김나현

    초록

    박태열은 1894년 황해도 은율에서 태어났다. 그는 대성학교와 신흥무관학교 출신으로 1910년대 후반과 1920년대에는 광제청년단, 광복군총영, 정의부에서 활동하며 활발한 무장투쟁활동을 전개했다. 광복군총영 결사대장을 맡은 박태열은 1920년 8월 미의원단의 한국방문을 맞이하여 전개된 평양의거의 중심인물이었으며 거사 이후에는 총영장 오동진의 부관으로써 광복군총영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던 인물이다. 1920년대 후반 삼시협정으로 인해 만주에서 한인독립운동가 탄압이 심해지자 박태열은 북경으로 이동하여 흥사단원동위원부 활동과 상업을 병행하였다. 이 때 얻은 수입은 안창호를 통해 각지 독립운동단체의 활동 자금으로 전달되었다. 박태열은 한국독립당 북경지부 당원과 공평사 사원으로도 활동하였다.
    기존 학계에서 박태열은 1920년 8월 광복군총영 제2결사대가 전개한 평양의거와 관련되어 단편적으로 언급되는 것에 그쳤다. 박태열은 평양의거를 이끈 중심인물이었을 뿐만 아니라 1910년대 후반부터 1934년 9월 상해에서 일제에게 체포될 때까지 주로 만주와 중국본토를 오가며 활발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박태열의 민족운동을 전반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박태열이라는 인물을 재조명하고자한다.

    영어초록

    Park Taeyeol was born in 1894 at Eunyul, Hwanghae-do. He graduated Daesung from School and Shinheung Military Academy, and in the late 1910s and 1920s, he was in the Gwangjae Youth League, General Camp of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and Jeongeuibu, and actively engaged in armed struggle.
    As the commander of General Camp of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he was almost a central figure in Pyeongyang Uprising, which was took place in August 1920 when American Congressional visited South Korea.
    After the Uprising, he was adjutant as Oh Dong-jin, a commander- in-chief, and participated in the establishment of a communications office and the purchase of weapons, and was in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General Camp of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When the repression against the independent activities became harsher in Manchuria due to Mitsuya Agreement in late 1920s, Park moved to Beijing and got involved in both Young Korean Academy Far East Branch activities commercial activities. The incomes were sent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groups in each region by Ahn Changho for the activity funds. Park was also the member of Korean Resistance Party Peiping Branch and Gongpyeongsa.
    In the existing researches, Park was only mentioned in relation to Pyeongyang Uprising led by General Camp of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Squad Two in August 1920. However, Park was one of the main figures who led Pyeongyang Uprising and Park was involv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s actively at both Manchuria and China starting from the late 1910s until he got arrested in September 1934 at Shanghai.
    In this study, aims to re-spotlight on the figure, Park Taeyeol, by examining his national movem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