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임병양란기 해남 사족 이복길의 아내 사랑과 그 시적 형상 - 『傳家秘寶』 소재 寄內詩와 <五連歌>를 중심으로 (Lee Bokgil's love for his wife and Its Poetic Shape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 A Study on the Korean Chinese Poetry and Yeon-Sijo in 『Jeongabibo』)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21.02
24P 미리보기
임병양란기 해남 사족 이복길의 아내 사랑과 그 시적 형상 - 『傳家秘寶』 소재 寄內詩와 &lt;五連歌&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가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가문화연구 / 47호 / 5 ~ 28페이지
    · 저자명 : 이형대

    초록

    이 글은 2016년에 처음으로 학계에 보고된 <오련가>의 작품에 대한 성격과 의미지향, 그리고 그 시가문학사적 위상을 좀더 새롭게 이해하여 보고자 작성되었다. 해남의 향촌사족 이복길이 지은 <오련가>는 선행 연구의 분석적 성과처럼 相思曲類의 시조작품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좀더 면밀하게 작품을 살펴보면 10수로 구성된 이 작품은 이복길이 그의 아내인 해미백씨에게 지어 보낸 寄內詩의 성격을 지닌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이 작품이 지닌 성격은 더 복잡하다. 이 작품은 창작 정황이 명시적으로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연구자의 해석적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본고에서는 작자인 이복길을 시적 화자로 해석한 선행연구와는 달리 해미백씨가 시적 화자인 작품으로 판단하였다. 그 근거는 이 작품을 수록한 『전가비보』의 편제와 감성표출의 양상, 시어의 구사 등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이 작품은 이복길의 애정 한시에 대해 해미백씨가 화답하는 부부 애정시조적인 성격을 지닌다. 물론 작자는 이복길이지만, 화자를 해미백씨로 설정하였기에 이러한 시적 효용을 지닐 수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전가비보』에 실린 시 작품들은 장르 혼재적인 부부수창시의 형식을 지니며, 한국고전시가사에서 그 기원을 열었다고 평가할 만하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the nature and meaning orientation of the work of <Oryeon-ga>, which was first reported to academia in 2016. Furthermore, I want to understand the poetry literature history of this work more anew. Created by Lee Bokgil, a rural gentleman in Haenam, <Oryeon-ga> can be understood as a prototype of "A song that People love each other" as an analytical result of prior research. However, if you look at the work more closely, you can see it differently. Consisting of ten stanzas, the work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poem written by Lee Bokgil to his wife, Ms. Haemi-baek.
    However, the characteristics of this work are more complicated. This is because the creative situation of this work is not explicitly revealed. Therefore, it is highly likely to be interpreted in a variety of ways depending on the researcher's interpretation point of view. In our study, the author, Lee Bokgil, is different from a prior study that interprets him as a poetical speaker. This work was judged by Ms. Haemi-baek as a poetical speaker. The basis for this work is the compilation of 『Jeongabibo』, the expression of emotion, and the use of words.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work has the poetic nature of the couple's affection, in which Ms. Haemi-baek responds to Lee Bokgil's love poem. Of course, the writer is half-way, but it is believed that the speaker was designated as Ms. Haemi-baek, so it was possible to have this poetic utility. From this point of view, the poems published in 『Jeongabibo』 have the form of a mixed genre poem, and it can be said that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al poetry has been open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가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