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後百濟王 甄萱의 900~901年 言行의 意味 (Significance of the Declaration and Invasion of Gyeon-hwon in 900 and 901)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9.11
34P 미리보기
後百濟王 甄萱의 900~901年 言行의 意味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전북사학 / 57호 / 115 ~ 148페이지
    · 저자명 : 진정환

    초록

    본고의 목적은 900년에서 901년 사이 후백제왕 견훤과 관련된 두 사건, 즉 900년 완산주 선언과 901년 8월 군사행동의 참뜻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900년 완산주 선언이 나오기까지의 과정을 확인해보고 무슨 목적으로 그러한 이야기를 하였는가를 살펴보았으며, 이어서 901년 대야성 침공과 금성(나주) 남쪽 공략의 의미와 성과, 그리고 이 두 지역을 통합하기 위한 견훤의 노력에 대해서도 검토해보았다.
    견훤은 신라의 변방이라 할 수 있는 서남해 방수군 비장으로 자립한 후 무주의 주치에 도읍을 정하고 지역민들을 포섭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이것이 여의치 않자 견훤은 900년 완산주를 순행하면서 향후 국가 통합과 운영의 방향을 천명한다. 그 선언의 핵심은 ‘백제의 뿌리가 마한에 있고, 백제를 계승한 자신이 마땅히 의자왕의 숙분을 풀겠다.’고 한 것이다. 이 선언에서 견훤이 표방한 마한과 백제가 하나라는 인식, 즉 ‘마한-백제 일체의식’은 구백제지역을 통합하려는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 이와 더불어 자신의 선명성을 내세우기 위해 ‘의자왕의 숙분을 풀겠다.’고 한 것은 이후 국정 운영의 지표가 되었다.
    이 900년 선언은 말로만 그친 것이 아니라, 전주로 천도한 후 불과 1년여 남짓한 시점에 군사행동으로 이어졌는데, 바로 ‘대야성 침공’과 ‘금성 남부지역 공략’이었다. ‘대야성 침공’은 의자왕의 숙분을 풀겠다는 그의 선언을 실천하기 위한 것이자 자신이 의자왕의 계승자임을 대내외 드러내는 하나의 정치적 행위였다. 그리고 대야성 원정길에 부수적으로 친신라적 경향이 강했던 남원지역을 자신의 판도에 둘 수 있었다. 이어서 견훤은 마한에 대한 귀소의식이 강했던 금성의 주민들에게 자신이 900년 천명했던 ‘마한-백제 일체의식’을 공유하고 확산시키기 위해 그 주변을 공략하였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점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견훤이 건원한 시기가 전주로 천도한 900년이 아니라, 901년인가 하는 의문이 풀린다. 즉 900년의 전주 천도는 내부적 모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임에 불과할 뿐이었을 것이지만, 901년 8월의 군사행동은 자신이 백제의 계승자이자 ‘마한-백제 일체의식’으로 지역을 통합할 수 있는 적임자임을 드러낸 금성의 마한유민들에게 이해를 구하는 행동이었다. 아마도 견훤은 901년의 군사행동의 성과를 바탕으로 고조선에서 시작하여 마한을 거쳐 백제로 이어지는 정통성이 자신에게 있음을 드러내기 위해 건원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icate the meaning of the two historical actions undertaken by Gyeon-hwon (867-936), namely, the Wansanju Declaration that he issued in 900 and the military action that he initiated in the eighth month of the following year. The main discussion of the study is focused on the background to the Wansanju Declaration made in 900 and the process, achievement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military actions initiated by Gyeon-hwon in 901 to seize the fortified cities of Daeyaseong (present-day Hapcheon) and Geumseong (present-day Naju) as well as his effort to unify the two areas.
    Following his service as the leader (Bijang) of a border defense unit responsible for protecting the southwestern coast of Unified Silla, Gyeon-hwon chose Juchi in the province of Muju as the capital of the kingdom he aimed to establish. However, his efforts to win the hearts of local people were unsuccessful, thus compelling him to turn to the province of Wansanju, where he declared the restoration of Baekje in 900. In the declaration, he stated that "as the roots of Baekje are in Mahan, I, as the successor of Baekje's former rulers, will avenge the tragic fall of King Uija." This declaration, which reveals Gyeon-hwon's belief that Mahan and Baekje were one and the same, would form the ideological basis for his exploration of the territory of Baekje for his new kingdom. His decision to avenge the disgrace of King Uija, Baekje's last king, became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the kingdom he aimed to establish.
    The Wansanju Declaration made by Gyeon-hwon in 900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capital of his new kingdom in present-day Jeonju the following year and to his decision to invade Daeyaseong and the southern part of Geumseong. His invasion of Daeyaseong was, therefore, not only the expression of his decision to avenge the humiliation of King Uija but also a political action designed to show both his followers and his enemies that he was the only successor to the fallen king. His exploration of Daeyaseong resulted in the subjugation of the area around present-day Namwon, which had been under the influence of Silla, and that of Geumseong, whose people had long been closely connected with Mahan, the predecessor of Baekje, and whose unity was highlighted in the statement of Gyeon-hwon.
    A comprehensive view of the history of this period shows that the establishment of Later Baekje by Gyeon-hwon took place in 901, not in 900, when he established the capital of his new kingdom in present-day Jeonju. The establishment of Later Baekje's capital in Jeonju was, for the founder of the new kingdom, the result of his efforts to overcome the instability spreading among his followers, while the military actions he initiated in the eighth month of 901 were intended to convince the people of Mahan in Geumseong that he was the legitimate successor of Baekje and the right person to integrate the kingdom with its predecessor, Mahan. As such, the achievement resulting from the military action of 901 should have given Gyeon-hwon an opportunity to strengthen his legitimacy as the successor of Baekje's rulers, following Mahan and the earliest Korean state, Gojos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전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