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학제적 연구로서 신경미학의 이론적 틀짓기 (Theoretical Framework for Neuroaesthetics as an Interdisciplinary Research)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9.12
45P 미리보기
학제적 연구로서 신경미학의 이론적 틀짓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학회
    · 수록지 정보 : 美學(미학) / 85권 / 4호 / 1 ~ 45페이지
    · 저자명 : 강미정

    초록

    이 논문에서는 신경미학의 여러 방법과 주제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학제적 연구분야로서 신경미학의 정체를 더 명확하게 하고자 한다. 본고는 기존에 야콥슨, 디사나야케와 브라운, 피어스와 동료들 등이 제출한 신경미학의 이론틀을 살펴보고, 이와 더불어 그들의 한계들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다. 신경미학 연구방법은 크게 심리학, 진화론, 신경과학의 세 가지로 나눠볼 수 있다. 신경미학자들은 19세기에 페히너가 정초한 실험심리학의 방법, 다윈이 정초한 진화론적 방법, 그리고 이론적 추정, 신경심리학, 신경영상 연구 등으로 구성된 신경과학적 방법을 채택해왔다. 신경미학자들이 연구해온 주제는 예술 행동과 감정, 예술적 창조성, 미적 경험과 표상으로 구별하여 살펴본다. 감정과 창조성은 각각 감정에 관한 모형들 중 개선된 클로어/올토니의 것과 예술가였던 환자의 사례를 통해 고찰하고, 예술 행동과 미적 경험은 각각 진화론적 근거와 미적 경험 모형을 통해 살펴본다. 신경미학자들이 종종 범하는 오류를 피하고 예술, 창조성 등 미학적 개념을 명확하게 규명하기 위해 신경미학은 과학자들뿐만 아니라 인문학자들과도 협력하는 폭넓은 학제적 연구로 정립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try a theoretical mapping for neuroaesthetics as an interdisciplinary research, examining a variety of methods and subjects that constitute it. Several researchers have pursued frameworks for neuroaesthetics, for instance, Jacobsen, Brown and Dissanayake, and Pearce et al.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I figured out three different methodological sources of neuroaesthetics: psychology, evolution theory, and cognitive neuroscience. The methodology of experimental aesthetics that Fechner had established in 19th Century are still utilized by many empirical aestheticians. Some of them adopt evolutionary biology to explain art behaviors of human beings. Recent developments in brain science technologies made researchers apply various methods to study neural basis of aesthetic experiences. I summarized the topics of neuroaesthetics as art behavior and emotion, artistic creativity, and aesthetic experience and representation. Emotion is included because it motivates the production and reception of art. Many neuroaesthetical writings focus on the problem of aesthetic experiences putting aside the one of artistic creativity. But the latter should be explored by neuroaestheticians. Trying to improve the frameworks that several neuroaestheticians suggested, I argued that neuroscientists have to pursue collaborations with the scholars in the humanities to make empirical aesthetics more comprehensive interdisciplinary study without falling in conceptual mistakes and narrowing down the research a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美學(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