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회학적 스포츠코칭 연구로의 초대: 반성과 전망 (An Invitation to Sociology-informed Sport Coaching Research: A Retrospective and Prospective Analysis)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25.01
11P 미리보기
사회학적 스포츠코칭 연구로의 초대: 반성과 전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코칭능력개발원
    · 수록지 정보 : 코칭능력개발지 / 27권 / 1호 / 30 ~ 40페이지
    · 저자명 : 이한울

    초록

    이 논문은 스포츠코칭을 향한 사회적 전환(social turn)의 역사적 발전과 가치를 비판적으로 논의하는 작업이다. 구체적으로 코칭과사회학 간의 관계성을 전면에 내 새우며 발전해 온 스포츠코칭학의 역사적 발전 배경을 살펴보며, 이를 바탕으로 코칭에 관한 다양한개념적 유형들을 구축한 사회학적 코칭 문헌들의 논의를 제시한 다음, 나아가 기존 연구들이 조사하지 못한 연구 영역을 제시하는작업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작업은 ‘반성’과 ‘전망’을 수용한다. 이의 반성적 성찰은 미셀 푸코, 피에르 부르디외, 어빙 고프만, 앨리 러셀 혹실드 등 기존 사회학자들의 서술을 해석적 도구로서 사용하여 코칭의 권력과 자아의 개념을 재해석 한 기존 문헌들의기여를 논하는 작업을 함의하는 반면, 전망은 그간 조사 및 논의되지 못한 코칭의 공간적 전환(spatial turn)을 서술한다. 더 나아가코칭의 공간분석에 관한 잠재적 연구 주제들을 제시하는 것 또한 포함한다. 끝으로, 추상적 특징의 이론과 코칭 현장을 결합하는비판적 시도의 중요성과 의의를 제언하는 것으로 이 작업은 마무리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provide a critical account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value of ‘social turn’ to coaching. Specifically, this article presented a (brief) overview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sport coaching by illumin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and sociology. This was underpinned by the explanation of empirical contributions of sociology-informed coaching studies, while also suggesting the domain of ‘what has not yet been explored’. In doing so, this work was primarily characterised with reflection and prospect. The reflective practice included the attempt to present the conceptual contributions of existing coaching literature, in which some social thinkers, such as Michel Foucault, Pierre Boudieu, Erving Goffman, and Arlie Russell Hochschild, were used as an interpretive tool to de- and re-construct everyday coaching practices. Whereas the prospective suggested an account of ‘spatial turn’ to coaching, which has been rarely considered (or discussed) in coaching research due to the excessive attention to the micro-level of analysis on social interaction. This also included the suggestion of some potential research ideas. In turn, this article concluded by addressing the significance of integrating (abstract) theories with practice as a critical attempt to ‘understand’ the doing of coach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코칭능력개발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