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주도 연물의 남방문화적 요소에 대한 고찰 (Southern Cultural Influence of the Shaman Ritual Music on Jeju Island -Focusing on the Musical Instruments-)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2.02
23P 미리보기
제주도 연물의 남방문화적 요소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무속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무속학 / 24호 / 229 ~ 251페이지
    · 저자명 : 이용식

    초록

    우리나라 무교(巫敎)는 일반적으로 북방아시아 샤머니즘의 한 지류로 여겨진다.
    그러나 무교가 북방아시라로부터 일방적으로 전파된 것이 아니라 남방아시아의 영향을 일정 정도 받았을 것이라는 주장이 이미 제기되었다. 또한 역사학계에서는 한반도남부에서 발견되는 고고학적 유물을 통해 우리 문화에 잔존하는 남방아시아와의 문화적 교류에 대한 논의를 제기하고 있다. 음악학에서도 아시아 음악문화와의 비교음악학적 관점에서 남방아시아에서 유입된 음악문화의 교류관계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제주도 문화는 ‘뭍’의 문화와는 매우 다르다. 제주도는 오랜 기간 동안 독자적인국가를 유지했고, 남방아시아 제도(諸島)와 문화교류를 했었다. 그러나 제주도 문화에 대한 남방아시아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심도있는 논의가 아직 이루어지지 못하고있다. 이글은 제주도 굿에서 사용되는 연물을 중심으로 제주도 문화와 남방아시아 문화와의 관련성을 고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제주도 굿판의 연물은 악기의 구조나 연주법이 뭍의 악기와 차별성을 갖는다. 장귀는 몸통이 작은데, 이렇게 몸통이 작은 장구형 악기는 본래 인도에서 전해진 악기로서 일본 궁중음악에서도 연주된다. 구덕북은 양면의 가죽을 끈으로 묶은 점에서 농악북과 같은 계통이고, 양면의 가죽을 못을 박아 고정시키는 궁중의 북이나 소리북과는 악기학적으로는 다른 계통의 것이다. 구덕북은 나무통 위에 얹어놓고 양면고(兩面鼓)이지만 양손에 채를 들고 북의 한 쪽 면만을 치는 단면고(單面鼓)의 실제적 기능을 하는 점에서는 농악북과 다르다. 이런 악기구조는 일본이나 동남아시아의 민간에서 쓰는 북과 유사성을 보인다. 설쉐는 나무판 위에 얹어 놓고 연주하는데, 이는 악기의 음향을 풍부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렇게 밥그릇 모양의 금속성 악기를 나무판위에 얹어 놓고 연주하는 악기는 동남아시아에서 광범위하게 연주하는 악기이다. 대양은 현재는 뭍의 징과 별반 차이가 없지만, 유물로 전승되는 악기의 형태는 남방아시아의 동고와 관련성이 있다.
    결국 제주도의 연물은 뭍의 악기들과는 구조와 연주법에서 다른 계통의 악기인 것을 알 수 있다. 제주도 연물은 남방아시아의 악기와 구조와 연주법에서 악기학적으로는 같은 계통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제주도 연물이 남방문화적 성격을 갖는 것은 제주도가 오랫동안 남방아시아의 섬문화와 교류를 가졌기 때문일 것이다. 이런 점에서 제주도 연물은 남방아시아적 성격을 갖는 것이다.

    영어초록

    Korean Shamanism has long been considered to be originated from the Northern Asian Shamanism. However, it has been argued that Korean Shamanism has also influenced from the Southern Asian Shamanism.
    Historians have found remains of Southern influence in Korean culture.
    Musicologists also have discussed about the Southern musical influence and relationships into Korea.
    It has been known that the culture on Jeju Island is peculiar to the culture of the mainland Korea. The Island has long been an independent state and has kept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islands in Southern Asia. However, the Southern influence on Jeju Island has not been discusses seriously. In this paper, I will explore the relationships of the musical instruments used in Jeju Shamanism and neighboring Asian culture.
    The musical instruments used in shaman ritual on Jeju Island are different from those in the mainland Korea. The hourglass drum has a small body with a shallow waist. This kind of drum has originated from India and found in the Southern Asian including Japanese court instruments. The drum on Jeju Island is similar to that used in nong’ak (farmer’s band music); the double sides are tighten with strings. It is different from the drum used in pansori (epic vocal genre) and other court drums of which the double sides are tighten with nails. Although the Jeju drum is a double-headed drum, the player strikes only one side with two sticks. This playing method is found in other Southern Asia. The small gong is placed on a wooden frame and struck from the top. It is similar to the gongs of Southeast Asia, e.g., Indonesian gamelan, Filipino kulintang, and so forth. The large gong is related to the Southern Asian bronze drum culture.
    In short, the musical instruments used in Jeju Island shaman rituals are different from those used in the mainland Korea. They show close relationship with the musical instruments of the Southern Asia. Because the Jeju Island has a long relationship with other Southern Asian islands, the Jeju musical instruments must have a close tie with those of the South As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무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