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憲宗 3年(1837) 永興 濬源殿 太祖御眞 模寫過程 硏究 (A Study on the Case of Damaging and the Process of Imitating the Portrait of King Taejo of Joonwonjeon in 1837)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1.12
32P 미리보기
憲宗 3年(1837) 永興 濬源殿 太祖御眞 模寫過程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동문화연구 / 76호 / 299 ~ 330페이지
    · 저자명 : 김철배

    초록

    본고는 헌종 3년(1837) 영흥 濬源殿 太祖御眞의 模寫와 그 배경에 대한 연구이다. 태조 이성계의 肖像을 봉안한 太祖真殿인 준원전은 태조 5년(1396)에 태조가태어난 곳인 영흥에 세워졌다. 太祖眞殿은 조선초기 영흥을 비롯하여 경주․평양․전주․개성 등 5개 지역에 세워졌다.
    준원전의 태조어진은 태조 7년에 최초로 봉안된 이래, 세종 25년(1443)에 두 번째 어진이 봉안되었고, 헌종 3년에 세 번째 봉안되었다. 특히 1837년에 이루어진태조어진 모사는 영흥에 사는 元大益이란 자에 의해서 태조어진이 훼손된 것이 발단이 되었다. 이때의 태조어진 모사는 그동안 왕실의 필요에 의해서, 혹은 어진이낡았을 때 모사되었던 것과 구별되는 것이다.
    범인 원대익은 사건이 발생한 다음날 진전 근처에서 체포되어, 한양으로 압송되었다. 그런데 추국하는 과정에서 동기 및 배후세력에 대한 심문을 제대로 하지 않고당일 서둘러 형을 집행하였다. 게다가 같은 해 12월 함흥감사 徐耕輔에 의해 함흥부 6개 지역의 전․현직 수령들이 贓汚罪로 탄핵되는 일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태조어진 훼손사건은 조선후기 民意를 반영하는 ‘殿牌作變類’의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전패작변이란 조선후기 客舍의 殿牌나, 書院의 位牌, 왕실의胎室 등을 훼손하는 사건으로 民意를 반영하는 한 형태를 뜻한다. 태조어진 훼손사건은 조선 건국자의 權威를 빌려 民意를 전달하고자 하는 것으로, 태조어진이 가지고 있는 의미를 살펴볼 수가 있다.
    찢어진 준원전 태조어진은 한양으로 옮겨와서 배접하고, 이것을 모본으로 모사하였다. 이후 유지초본․유지대본․부본․정본화 과정을 거쳐 모사를 마칠 때까지 약50일이 소요되었는데, 이것은 그간 어진의 모사가 약 20일 정도 소요되었던 것에비하여 다소 긴 공정이었다. 당시 永禧殿 제1실에 봉안된 태조어진을 모사하지 않고, 준원전 태조어진을 옮겨와서 모사한 것은 이것이 조선초기 圖寫本이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어진 모사과정에서 배접, 유지초본 제작 등의 과정이 추가하여 태조어진 모사에 만전을 기하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to consider the process of damaging the Portrait of King Taejo(太祖御眞) at Joonwonjeon(濬源殿) and imitating it in 1837(憲宗 3).
    Joonwonjeon was built at Youngheong(永興) where the King Taejo was born in 1397. The Portrait was enshrined at Jinjeon(眞殿)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and the portrait of King Taejo Lee Sung-Gye, Joseon's founder is especially enshrined at Taejojinjeon(太祖眞殿). Taejojinjeon in Youngheong was called Joonwonjeon, one of the Taejojinjeons which was built in five region in early Joseon Dynasty: Youngheong, Kyungju,Pyeonyang, Gaesung, and Jeonju.
    The Portrait was enshrined in Joonwonjeon in 1397 at first time, secondly in 1443 and thirdly in 1837. Especially, the third copy resulted from the case that the Portrait was torn by Won dae-ik(元大益) lived in Youngheong.
    This case was are distinguished from the Portrait imitated by royal family when it was old or needed to imitate it by the royal family.
    In 1837, the period of in-law government power(勢道政治), Won dae-ik(元大益) was arrested around the Gingeon the next day of the incident. He was sent to Hanyang(漢陽) and sentence was executed immediately without pursuing the question. About three months later, Seo kyong-bo(徐耕輔), the ruler of a Hamkyung province, impeached the six local officials in the province for misappropriation(贓汚罪) in December 1837. In light of this, the case for the damage to the portrait was one of the Jeonpae-jakbyon(殿牌作變) which meaned the damage to the wodden plate that symbolized the King in Gaeksa(客舍) or the ancestral tablet in Seowon(書院) and reflected the will of the people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Dynasty. Given this fact, the damaged case of the Portrait was one that used King Taejo's authority to reflect the will of the people: there are two sides to the Portrait.
    A torn Portrait of Joonwonjeon was sent to Hanyang, mounted and imitated. It took 50days to be enshrined in Joonwonjeon, and this was long about 20days as compared with the previous copy in 1688, 1735 and so on.
    At that time, the Portrait was imitated generally not from the first room of Youngheejeon(永禧殿), but from Joonwonjeon, because the Portrait of Joonwonjeon was Dosabon(圖寫本) which was drawn when king Taejo lived.
    So Joseon government made assurance doubly sure in process of the imitating the Portra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