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원숭이의 생간(猿の生肝)」설화의 근원설화와 한역경전의 관련화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origin of the "Monkey's Raw Liver" tales and related stories of the Chinese Buddhist canon)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23.02
29P 미리보기
원숭이의 생간(猿の生肝)」설화의 근원설화와 한역경전의 관련화에 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어일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어일문학연구 / 124권 / 237 ~ 265페이지
    · 저자명 : 이시준

    초록

    本稿は「猿の生肝」説話の根源説話と漢訳経典の関連話をめぐって、説話の伝承の諸相とその影響関係を考察したものである。インドの『本生経』には関連話が四つあって、内容的にはA「背を踏んで走る型」(57話)とB「木に肝をかける型」(208話)に大別される。続いて、インドの教訓や処世を教えるための教育書『パンチャタントラ』や仏教説話集『マハーバストゥ』にも関連話が収録されており、格言やことわざなどの文句とともに『本生経』の話が継承されながら、世俗的な教訓のため、あるいは仏教的な教理を込めて「猿の生肝」説話が展開されている。注目すべき点は、両話ともに「猿とワニの友情」、そして「妻の嫉妬」の内容を含んでおり、量的にも無視できない分量を占めているということである。筆者はこの説話をC「木に肝をかける型-友情と嫉妬-」と命名した。従来の説は、インドの「猿王本生」説話が中国の『仏本行集経』に影響を及ぼしたとしているが、「猿王本生」説話はA「背を踏んで走る型」に属し、「仏本行集経」はB「木に肝をかける型」属するもので、両説話で影響関係を認めるほどの内容上の類似性は見つからない。また、『生経』は『パンチャタントラ』や『マハーバストゥ』を受け継ぐC「木に肝をかける型-友情と嫉妬-」に属しており、『六度集経』·『仏本行集経』はB「木に肝をかける型」に属する。従来の、全体的な内容の構成を考慮せずに登場動物の共通点だけに注目し、『六度集経』·『生経』を同じ系統とし、これらと『仏本行集経』とを異なる系統であるとした説は再考の必要があるだろう。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various aspects of the tales and its influence on the origin of the tale of ``monkey's raw liver'' and related stories of the Chinese Buddhist canon. There are four related stories in India's "Honshokyo", and its’ contents are divided into two: type A "running by stepping on the back" (episode 57) and type B “hanging the liver on the tree" (episode 208). Related stories are also included in the educational book “Panchatantra” and the collection of Buddhist tales “Mahabastu”. In these stories, the tale of 'monkey's raw liver' is developed for secular lessons or Buddhist doctrine.
    It is worth noting that both stories contain the content of ‘the friendship between a monkey and a crocodile’ and ‘the jealousy of a wife,’ and that they occupy a considerable amount in terms of quantity. The author named this tale type C “hanging the liver on the tree-friendship and jealousy-''. It used to be said that the tale of 'Saruo Honsho' from India had an influence on the Chinese "Butsuhongyojikkyo," but the tale of 'Saruo Honsho' belongs to type A and ”Butsuhongyojikkyo“ belongs to type B, and there is no similarity to the extent that any relationship can be recognized between the two tales.
    In addition, the "Shokyo" belongs to type C which inherits "Panchatantra" and "Mahavastu", and "Rokudojikkyo" and "Butsuhongyojikkyo" belong to type B. It should be reconsidered that "Rokudojikkyo" and "Shokyo" are regarded as the same strain, and these and "Butsuhongyojikkyo" are of different strains based only on the commonalities of the animals without considering the composition of the entire contents of the ta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어일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