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선조왕손 일연상인(日延上人)에 대한 연구 (A Study on Nichien Shōnin(日延上人), a grandchild of King Seonjo(宣祖))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5.02
29P 미리보기
선조왕손 일연상인(日延上人)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사연구 / 6호 / 72 ~ 100페이지
    · 저자명 : 원영상

    초록

    일연상인(日延上人)에 대한 국내 연구는 양은용에 2002년에 처음으로 이루어졌다. 이후 독자적인 연구와 더불어 일본 내 몇 사람의 연구가 있었지만 현재까지는 답보상태에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를 종합하는한편, 새로운 측면을 열어 가기 시도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첫째는임진왜란이라고 하는 전쟁에 투영된 불교의 보편정신에 입각한 평화적역할, 둘째는 동아시아에서의 불교적 이념 공동체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탐구되었다.
    이러한 목표를 위해 먼저 역사적인 사료의 재검토를 시도하였다. 이에따라 일연상인과 선조와의 관계를 조명하였다. 임해군의 자녀라고 하는면은 일본과 한국의 자료 차이로 인해 향후 좀 더 고증 가능한 자료가확보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일연상인의 행장에서는 가토 키요마사(加藤清正)와의 관계, 수학과정, 신지대론(身池對論)에 의한 삶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어 일연상인의 일생의 큰 전환점인 신지대론의 구체적인 역사와 그 결과를 고찰하였다. 이는 일련종(日蓮宗) 불수불시파(不受不施派)의역사에 깊이 개입되어 있는 일연상인을 통해 종교와 국가권력의 관계를깊이 들여다 본 것이다. 마지막으로 같은 시기에 일본에 끌려온 일요상인(日遙上人)의 행장을 살펴보고 이 둘의 관계와 의미를 짚어보았다. 특히지금도 남아 있는 일요상인과 부친과의 서간을 통해 한 인간의 고통스런운명과 불법을 통한 인간정신의 승화를 살펴보았다.
    향후 사료발굴을 통해 임진왜란기에 일어난 많은 피랍인들의 운명과 삶을 정리하고, 역사적 입장에서 새롭게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러한 측면에서 불도에 의지한 삶을 살다간 일연상인과 일요상인의 행적은한일 간의 새로운 역사적 관계를 설정하는 데에 커다란 지향점을 암시하고 있다고 본다.

    영어초록

    The Study in Korea on Nichien Shōnin(日延上人) was first performed by Yang Eunyong in 2002. Though since then there were a few people's studies including his research, up to now the study on him is at a standstill.
    This paper integrates together such studies, on the other hand, it may be a try to open a new aspect. This study was examined with the idea in mind of, firstly, the peaceful role based on the universal ideology through the war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壬辰倭亂), and secondly the possibility of community of Buddhist ideology in East Asia.
    For such goal, I first tried to re-investigate the historical materials.
    According to them, I reflected on the relation of Nichien Shōnin and King Seonjo(宣祖). As for the aspect of he is offspring of Prince Imhaegun(臨海 君), we need more henceforth to secure materials for historical evidence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materials between from Korea and Japan.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 in his life caused by relation with Gatō Kiyomasa(加藤清正), the process of learning, and Shinchitairon(身池對論), for his personal history. Subsequently, I investigated the detailed history of and the result of the Shinchitairon(身池對論) which was a great turning point in Nichien Shōnin's life. I mean that the study examined deeply the relation between religion and state's power through Nichien Shōnin who was deeply involved in the history of Huzuhuseha(不受不施派) in the School of Nichirenshū(日蓮宗).
    Lastly, the study looked into the history of Superior person Nichiyō Shōnin(日遙上人) who was brought by force to Japan at the same period with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 finding out the relation between them and the meaning. Peculiarly this study investigated his painful destiny as one human and his will toward the Buddhadharma through letters shared between Nichiyō Shōnin and his father which remained still until now.
    Henceforth it is need to arrange and evaluate newly from the historical perspective the destinies and the lives of many kidnapped people which occurred at the period of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 through discovering the historical sources. From such aspect the life histories of Nichien Shōnin and Nichiyō Shōnin which led the lives dependent on the Buddhist path suggest the great directing point in establishing the new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4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