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전기 회화와 ‘연사모종(煙寺暮鍾)’ (Early Joseon Painting and “Evening Bell from Mist-Shrouded Temple”)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22.05
20P 미리보기
조선 전기 회화와 ‘연사모종(煙寺暮鍾)’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와 시각문화 / 29호 / 56 ~ 75페이지
    · 저자명 : 장진성

    초록

    〈산수도〉는 16세기에 안견파(安堅派) 화풍으로 그려진 전형적인 조선 전기의 회화작품이다. 이 그림은 표면적으로 보면 특정한 주제가 없는 ‘일반 산수화(generic landscape)’처럼 보인다. 그런데 이 그림의 원경(遠景)에 보이는 연무(煙霧)에 잠겨 있는 사찰은 〈산수도〉가 연사모종도라는 것을 알려 준다. 연사모종도를 구성하는 정확한 도상(圖像)적 요소들은 분명하지 않지만 강 너머 또는 언덕 위에 있는 곳을 보여 주는 공간적 거리감, 안개에 싸여 있는 사찰, 저녁 시간, 종소리를 듣는 인물들이 중요한 시각적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길을 걸어가는 행인(行人)들, 안개에 싸여 있는 사찰, 저녁 무렵의 풍경이 나타나 있는 〈산수도〉는 특정한 주제가 없는 일반 산수화가 아니라 ‘소상팔경(瀟湘八景)’ 중 한 장면을 그린 〈연사모종도〉라고 할 수 있다. 이 그림처럼 아직도 많은 작품들이 ‘산수도’라는 제목으로 전해지고 있다. 소상팔경도 병풍 및 화첩이 해체되고 이후 8폭의 그림이 단폭(單幅)으로 후대에 전해지면서 이 작품들은 ‘산수도’가 되었다.
    현재 메트로폴리탄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우중행려도(雨中行旅圖, Rainy Landscape with Travelers)〉는 전경에 보이는 다리를 건너는 승려를 근거로 〈연사모종도〉로 추정되고 있다. 그런데 〈우중행려도〉에는 사찰이 그려져 있지 않다. 안개가 산과 계곡에 자욱하지만 사찰은 화면에 보이지 않는다. ‘연사모종’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안개에 싸인 절[煙寺]’이 이 그림에는 나타나 있지 않다. 따라서 〈우중행려도〉는 연사모종도로 불릴 어떤 근거도 없다. 〈우중행려도〉와 같이 연사모종도로 오인(誤認)될 수 있는 그림도 있지만 연사모종도로 알려진 그림이지만 연사모종도가 아닌 그림도 존재한다. 그 대표적인 예가 야마토분카칸(大和文華館)에 소장되어 있는 〈연사모종도〉이다. 〈연사모종도〉로 알려진 것은 화면의 왼쪽 상단에 적혀 있는 ‘촉사모종(燭寺暮鍾)’과 명나라 초기에 활동했던 인물인 사구소(史九韶, 15세기 초에 주로 활동)의 「소상팔경도기(瀟湘八景圖記)」 중 ‘연사모종’에 대한 시(詩) 때문이다. 〈연사모종도〉에는 비록 사찰이 나타나 있지만 너무도 미미한 화면 구성 요소에 불과하다. 〈연사모종도〉에서 주목되는 부분은 전경에 나타나 있는 강가에 정박해 있는 배들이다. 이러한 ‘정박한 배’라는 모티프는 ‘어촌석조(漁村夕照)’ 또는 ‘원포귀범(遠浦歸帆)’을 그린 그림에 자주 등장한다. 따라서 야마토분카칸 소장의 〈연사모종도〉의 주제는 ‘연사모종’이라고 생각되지 않는다.

    영어초록

    Landscape, now in a private collection, has been considered a generic landscape painting with no specific theme. The scene of a temple enveloped in mists and clouds in the distance strongly suggests that this painting depicts “Evening Bells from Mist-Shrouded Temple,” one of the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The iconography of “Evening Bells from Mist-Shrouded Temple” consists of evening, temple in the misty hills, distance (across the river or up in the hills), and figures standing to listen to the sound of bells or wandering through the mist toward a distant temple. The two figures in the foreground, a man with a staff and a young attendant, and the misty temple in the background indicate that the subject of Landscape is “Evening Bells from Mist-Shrouded Temple.” Paintings of the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have been disassembled. Eight round fans, eight square album leaves, eight hanging scrolls, eight screen panels, and eight sections of a handscroll, painted originally as a linked group have been taken apart, dispersed, and remounted as individual paintings. Landscape is one such example.
    Rainy Landscape with Travelers in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shows a man with two attendants traversing a bridge in a mist-shrouded mountain valley on the way to his temple. Due to the overall evocative and misty setting and the figures, this painting is thought to depict “Evening Bells from Mist-Shrouded Temple.” However, none of the iconographic core elements of the theme is found in the Rainy Landscape with Travelers. Even the Buddhist temple is absent. The subject of Evening Bell from Mist-Shrouded Temple in the Yamato Bunkakan, Nara, Japan, has never been questioned because of the inscription on the painting, a poem on “Evening Bell from Mist-Shrouded Temple” by the Ming poet Shi Jiushao (active early fifteenth century). The misty temple seen in the upper right is too small to be visible. The moored boats and drying nets in the foreground are suggestive of the theme of the painting: either “Fishing Village in Evening Glow” or “Returning Sail off Distant Shore.” In all likelihood, the Yamato Bukankan painting has nothing to do with “Evening Bell from Mist-Shrouded Tem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와 시각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