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음복연(飮福宴)의 의례와 음악 (The Ritual and Music in the Umbokyeon 飮福宴 in Joseon Period)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08.02
28P 미리보기
조선시대 음복연(飮福宴)의 의례와 음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연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공연문화연구 / 16호 / 87 ~ 114페이지
    · 저자명 : 송지원

    초록

    음복연(飮福宴)은 의례의 성격상 오례(五禮) 가운데 가례(嘉禮)에 속하는 의례지만 음복연 단독으로 독립하여 연행되는 의례가 아니라는 점에서 그 특수성을 지닌다. 선행의례로서 ‘음복(飮福)’을 해야 할 이유가 있는 특정 의례가 연행된 후라야 비로소 설행(設行)되는 의례가 곧 음복연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음복연이 지닌 특수성을 주목하여 조선시대 음복연의 의미와 설행시기, 내용 등을 파악해 보고 음복연의 절차를 기록한 의주(儀註) 및 음복연에서 연행하는 악무(樂舞) 등의 의미와 내용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와 더불어 제사의 한 절차인 음복례(飮福禮)의 의미와 내용도 아울러 파악하였다. ‘음복례’와 ‘음복연’은 의미상 중복된다는 혐의가 제기되는 의례이므로 이 두 의례의 의미 파악이 필요한 실정이다.
    음복연 대해 고찰한 결과 일반 연례(宴禮)의 악무(樂舞) 설행 관습을 따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음복연을 행하는 의미는 ‘신의 은혜를 멈추지 않는다(不留神惠)’는 데에 있고, ‘복을 받는 것’이 중요한 일로 여겨졌으므로, 왕 이하가 제사지낸 술, 즉 복주(福酒)를 마시는 절차가 그 핵심을 이룬다는 사실이 일반 연례와의 차이점으로 파악되었다. 음복연은 17세기 후반 이후 더 이상 실행되지 않았다.

    영어초록

    Umbokyeon 飮福宴, the feast in partaking of sacrificial food and drink was one of Orye(五禮 Five Rites) as Garye(嘉禮 felicitous rites), but it could not be performed by itself. It is notable that Umbokyeon was not performed until the preceding ceremony had been carried out first.
    This paper looks into the meaning of Umbokyeon, the period of its performance, the process and then clarifies the formal commentaries recording the ritual procedure and music and dance in Umbokyeon. Furthermore, I illustrate the meaning of Umbokrye 飮福禮, the rite of partaking food and drink in ancestor worship. Also, the difference of Umbokrye and Umbokyeon need to be clarified.
    It is certain that Umbokyeon followed the custom of performing music and dance in general court feast. However, the meaning of partaking sacrificial food and drink lied in 'God's blessing never stopps (不留神惠)'. 'Being blessed' was considered important, so the procedure of drinking wine which King and his servant sanctified was the core of the ceremony, unlike the general court feast(宴禮). Umbokyeon was not performed any more since the late seventeen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연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