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열 기둥 주거지’를 통해 살펴본 영서지역 전기 청동기시대 문화교류 및 융합의 현장 (Exploring the Nature of Cultural Exchange and Fusion in the Korean Early Bronze Age through an Examination of Houses with Dual Post Rows of the Yeongseo Region)

5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7.08
52P 미리보기
‘2열 기둥 주거지’를 통해 살펴본 영서지역 전기 청동기시대 문화교류 및 융합의 현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논총 / 74권 / 3호 / 107 ~ 158페이지
    · 저자명 : 고일홍

    초록

    청동기시대 주거지에서 보이는 2열의 초석 배치는 어느덧 ‘둔산식주거지’의 표지적 특징 중 하나로 인식되어, 가락동유형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하지만 2000년대 이후 돌대문토기가 출토된 주거지에서 2열 초석이 확인되는 사례들이 꾸준히 늘어나고있어서, 2열 초석 주거지에 관한 실증적 검토와 그 계통에 관한 새로운해석이 필요한 시점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2열 초석은 물론, 2열 주공이 확인된 ‘2열 기둥 주거지’에 대해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의 공간적 범위를 영서지역으로 한정시킨 것은 이 지역에서 非가락동계열의 2열 기둥 주거지들이 가장 높은 빈도로 확인되기 때문이며, 또한 2열 기둥배치를 포함해 한반도 북부지역에서 기원한것으로 보이는 다양한 문화요소들이 역동적으로 어우러진 곳이 바로이 지역이기 때문이다.
    본고에서 이루어진 분석의 결과, 화천, 홍천, 정선, 영월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확인되는 ‘장방형에 중심공간과 측면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고위석식노지를 사용하며 바닥에 초석을 설치한 주거지’가 영서지역 2열기둥 주거지 전통의 초기 모습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이러한 ‘원형’에서 변화된 다양한 2열 기둥 주거지 전통들이 춘천과 평창 지역을중심으로 전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방사성탄소연대 측정치를통해 이러한 2열 기둥 주거지의 원형은 이미 기원전 1800~1700년경에홍천 지역에 등장했으며, 기원전 1400년 이후로 지역적 특색을 보이며다양한 모습으로 변형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른 형태의 2열 기둥주거지들에서는 돌대문토기 및 이중구연토기가 출토되는 반면, 공열토기는 대체로 늦은 형태의 2열 기둥 주거지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2열 기둥 주거지의 원형은 압록강 중⋅상류유역의 2열 기둥 주거지와 유사하고, 늦은 형태의 2열 기둥 주거지는동북한지역의 2열 기둥 주거지와 유사한 정황이 포착되었다.

    영어초록

    The use of dual post rows in Bronze Age houses has come to be regarded as an element of the Garakdong cultural assemblage. However, since the turn of the millenium, cases in which dual post rows have been identified in non-Garakdong culture houses have steadily accumulated.
    Therefore, it may be argued that a detailed study of dual post row houses is presently requir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ggest that in its earliest stage, this tradition of erecting two rows of internal posts was associated with the use of post footstones that were placed upon the house floor, and that the posts were distributed in such a way to maximize the utility of the dwelling spaces that had been divided by the post rows. This early form of dual post row use was identified in the Hwacheon, Hongcheon, Jeongseon, and Yeongwol regions, and later variations were identified in the Chuncheon and Pyeongchang regions. Radiocarbon dates indicate that this building tradition had already been established in the Hongcheon region by 1800~1700 BCE and that by 1400 BCE, regional variations had emerged. It was also identified that this tradition was associated with double- rim pottery and attached band pottery in its early stage and rim-perforated pottery in its later stage. Finally, it was observed that this tradition of dual post row houses shared many similarities with the houses of the Amnok River region and the northeast coastal region of North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