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주거지역 근린공간의 인지건강 디자인에 관한 연구 -상하이 '고령 친화형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gnitive Health Design of Neighborhood Space on Residential Area in China - Focusing on Shanghai 'Age-friendly Community' -)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23.12
16P 미리보기
중국 주거지역 근린공간의 인지건강 디자인에 관한 연구 -상하이 '고령 친화형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8권 / 8호 / 429 ~ 444페이지
    · 저자명 : 천멍커, 한태권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중국은 노령화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으며 고령자의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인지 및 신체 기능 쇠퇴로 인해 고령자들은 복잡한 환경에 더 취약해지지만, 현재 중국 주거지역의 근린공간 환경은 고령자들의 노후 생활을 지원하기에 충분하지 않아 일상생활의 자립을 방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인지건강 디자인 관점에서 중국 주거지역의 고령 거주자를 연구 대상으로 IPA 분석을 활용하여 근린공간에 대한 디자인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첫째, 인지건강 디자인 관련 문헌고찰을 통해 인지건강 디자인 6가지 요소를 도출한다. 둘째, 중국의 현행 규정에 따라 고령 친화형 주거지역의 근린공간 구성을 파악하고 설문지를 작성한다. 셋째, 중국 고령 친화형 커뮤니티 고령자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 2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결과) 분석 결과에 따른 개선방향은 '집중 개선 항목' 13개, '점진적 개선 항목' 8개로 나타났다. 안전성 개선 항목은 주로 활동 안전성과 범죄 안전성의 두 가지 방면에 집중되어 있으며, 감각성 개선 항목은 유익한 자극 제공에 중점을 두고 있다. 편의성 개선 항목은 공간적 근접성과 시설 이용의 용이성을 중점으로 두고 있으며, 사회성 개선 항목은 사회 활동 유도에 중점을 두고 있다. 쾌적성 개선 항목에서는 미기후의 쾌적성과 청결한 환경에 중점을 두며 익숙함의 개선 항목은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고 소속감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결론) 첫째, 중국 주거지역 근린공간의 인지건강 디자인은 편의성, 쾌적성, 안전성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편의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작업의 난이도와 단계를 감소시켜 쇠퇴된 수행능력 향상을 지원해야 한다. 쾌적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방해되는 자극을 감소시켜 쇠퇴된 주의력 및 수행능력 향상을 지원해야 한다. 안전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주의력 저하, 시공간 능력 저하 및 수행능력 저하를 중심으로한 강화 디자인을 해야 한다. 둘째, 감각성과 익숙함의 GAP 값이 크게 나타나므로 감각을 자극하여 감각성을 개선하고 고령자의 다각적인 인지능력을 촉진해야 한다. 또한, 기억 증진 및 강화에 유익한 디자인을 통해 익숙함의 요소를 개선해야 한다. 셋째, 사회성 요인 중 사회 활동 유도와 관련된 항목은 집중적인 개선이 필요한 경향을 보였다. 고령자의 언어 능력 저하로 인해 사회적 상호작용이 감소하는 상황에 대한 설계를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In recent years, the problem of population aging in China has become serious, and the quality of life of older persons has received increasing attention. Due to declining cognitive and physical functions, older persons are more vulnerable than younger persons to complex environments; however, the current neighborhood spatial environment in Chinese residential areas is inadequate to support older persons, which may hinder their independence in daily life.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design improvements for neighborhood spaces using IPA analysis to study older persons in Chinese residential areas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health environment design. (Methods) First, six elements of cognitive health design were deriv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Second, we identified the neighborhood space configuration of age-friendly residential areas according to current regulations in China and generated a questionnaire. Third,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older residents of age-friendly communities in China.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4.0.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13 "intensive improvement items" and 8 "gradual improvement items" were identified. The safety improvement items primarily focused on the two aspects of activity safety and crime safety, whereas the sensory improvement items focused on providing beneficial stimulation. Convenience focused on spatial proximity and ease of access to facilities, and social focused on encouraging social activity. The comfort improvement items focused on microclimate comfort and cleanliness, while the familiarity improvement items focused on reflecting local characteristics and promoting a sense of belonging. (Conclusions) First, cognitive health design in Chinese residential neighborhoods should prioritize convenience, comfort, and safety. To improve convenience, the difficulty and steps of tasks should be reduced to support declining performance. Comfort should be improved by reducing distracting stimuli to support reduced attention and performance. To improve safety, enhancements should be made in terms of reduced attention, visuospatial abilities, and performance. Second, the sensory and familiarity gap values were large; therefore, sensory stimulation should be used to improve sensation and promote multifaceted cognition in older adults. Additionally, the familiarity factor should be improved through design that is beneficial for promoting and strengthening memory. Third, among social factors, items related to inducing social activities require intensive improvement.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strengthening design for situations in which social interaction is reduced because of declining language skills in older adul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