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역기능적 분노에 대한 기독교상담적 개입의 원리 - 분노회피모형(Anger Avoidance Model)을 근거로 - (Christian Counseling’s Principles of Intervention for Dysfunctional Anger: Based on the Anger Avoidance Model.)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6.11
22P 미리보기
역기능적 분노에 대한 기독교상담적 개입의 원리 - 분노회피모형(Anger Avoidance Model)을 근거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52호 / 271 ~ 292페이지
    · 저자명 : 반신환

    초록

    역기능적 분노에 대한 기독교상담적 원리를 발견하기 위해, 역기능적 분노에 대한 모형을 분석했다. 역기능적 분노에 대한 전통적 개입 프로그램으로 노바코의 분노관리훈련의 특징을 분석하고, 그것의 이론적 근거로서 카시노브의 분노삽화모형을 분석했다.
    분노삽화모형은 순환적 모형이다. 이 모형의 구성요소는 5개로서, 촉발사건, 평가, 경험, 표현, 결과이다. 이것들은 단계적으로 순환한다. 그리고 각 단계에서 분노나 그것의 부정적 결과를 감소하기 위한 개입이 가능한데, 분노의 평가와 표현를 강조한다. 그러나 이 모형은 이론적 취약성을 갖고 있다. 분노의 과정을 강조하기 때문에 역기능적 분노의 특징과 원인에 이론이 부족하다. 그리고 분노에 대한 개인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강조하기 때문에 생물학적 구조의 원인이나 양육환경의 원인에 대한 연구결과들이 반영되지 않는다.
    분노삽화모형의 대안으로 가드너의 분노회피모형을 분석했다. 이 모형에서 역기능적 분노의 특징으로 경험적 회피에 중점을 둔다. 즉 역기능적 분노는 분노에 대한 회피 전략을 경직되게 그리고 과도하게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분노를 수용해서 처리하지 못한다. 그리고 그것의 원인으로 감정 오조절을 강조한다. 그것은 인지적 요인과 생리적 요인의 상호작용의 결과이다. 그리고 그것은 현재 경험과 과거 학습의 상호작용의 결과이기도 하다.
    분노회피모형을 근거로, 기독교상담에서 역기능적 분노에 개입하는 4개 원리를 제시했다. 첫째, 역기능적 분노에서 원인의 복잡성에 대한 심리교육이 필요하다. 그것의 원인은 다양하고 역사적이다. 그러므로 원인의 복잡성이 높다. 그러므로 원인의 규명보다 대안의 훈련에 초점을 둔다. 둘째, 역기능적 분노에 대한 핵심적 개입은 감정조절의 훈련이다. 인지, 생리, 그리고 대인관계의 영역으로 구분해서 감정조절의 기술을 훈련한다. 특히, 기독교 전통과 접목해서 사용한다. 셋째, 분노 경험의 수용과 인내를 촉진한다. 분노에 대한 일반적 태도나 기독교의 문화는 회피나 도피를 강조한다. 이것은 분노에 대한 새로운 학습의 기회를 박탈한다. 분노를 처리하는 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분노에 대한 지각, 이해, 수용, 참아내기, 변형, 그리고 적절한 표현을 훈련한다. 그리고 예언자적 관점에 기반을 두는 문화적 분석도 필요하다. 넷째, 분노와 일치하지 않는 반응을 훈련한다. 분노에 대한 회피반응을 줄이고 분노경험을 견디면서 처리한다.

    영어초록

    To construct the principles of intervention for dysfunctional anger in the Korean Christian counseling, the models on the dysfunctional anger are analyzed and compared. First of all, the features and process of Novaco’s Anger Management Training, one of the popular intervention programs, are analyzed. And the components of Kassinove’s Anger Episode Model are analyzed, because this model provides that program with its theoretical framework.
    Kassinove’s model is composed of 5 components. They include triggers, appraisals, personal experience, expression, and outcomes. They are circular consequentially. Following the cognitive behavioral approach, of which appraisals and expressions were focused. However, his model is lack of theoretical consistency in that not dysfunctional anger but useful anger is explained. Neither biological risk nor the early risk are not considered in his model, which are supported in the empirical researches.
    Gardner‘s model is more comprehensive and empirically supported than Kassinove‘s. In Gardner‘s model the core process of the dysfunctional anger is supposed to be the experiential avoidance. In the dysfuctional anger there frequently appears the rigid and excessive employment of the avoidance strategies. Therefore anger cannot be processed. In his model its cause lies in emotional dysregulation. Anger is not perceived, understood, accepted, tolerated, modulated, or expressed appropriately. It is derived from interaction of biological vulnerabilities with psychological vulnerabilities and of the past vulnerabilities with the present vulnerabilities.
    Four principles for the Korean Christian counselors working with their clients of dysfunctional anger, are presented. First, it is helpful to provide psychoeducation on the complexity of its vulnerabilities. They are composed of different dimensions. The psychoeducation prevents preoccupation of the past or blaming. Second, the core of the intervention lies in emotion regulation. It is helpful to equip with its skills in the areas of cognitive reconstruction, physiological relax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It is also helpful to employ the skills in the context of Christian churches. Third, it is helpful to focus on accepting and tolerating anger. The Korean culture focuses on suppressing anger, therefore it is also helpful to equip with cultural empowerment and analysis. Fourth, value actions are encouraged. To promote new learning to regulate anger in the flexible way, it is helpful to employ exposure in which avoidance behaviors are prohibited while anger is experienced and tolera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