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역사학에서 ‘동물로의 전환(Animal Turn)’ -짐승의 사회문화사에서 포스트휴머니즘 역사로- (‘Animal Turn’ in Historiography: From Sociocultural History of Non-human Animals to Posthumanist History)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8.12
30P 미리보기
역사학에서 ‘동물로의 전환(Animal Turn)’ -짐승의 사회문화사에서 포스트휴머니즘 역사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양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양사론 / 139호 / 212 ~ 241페이지
    · 저자명 : 송충기

    초록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동물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지만 서양에서는 이러한 흐름이 훨씬 이전에 시작되었다. 이제 학계에서도 이러한 ‘동물로의 전환(animal turn)’을 받아들이고 있는데 전문적인 학회와 학술지가 등장하거니와 기존의 학술지도 이
    에 대한 특집호를 줄줄이 내놓고 있다. 역사학도 예외가 아니다. 물론 1980년대부터 사회사를 포함한 ‘전통적인’ 역사학도 이러한 것에 관심이 있었다. 사실 사냥과 농경 등 인류 역사에서 동물이 존재하지 않은 적이 없었다. 산업화 이후에는 도축,
    동물생체실험, 동물원, 반려동물 등이 역사학의 관심을 받았다. 하지만 역사의 주체는 동물을 제외한 인간이었다.
    2000년을 전후로 인간과 동물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는 역사학적 연구가 늘어나면서 기존의 사회문화사를 뛰어넘는 새로운 문제의식이 싹트고 있다. 그것은 동물을 더 이상 역사학의 대상으로 보려는 것이 아니라 인류와 같은 주체로 인식하고자
    한다. 철학자 데리다와 아감벤 그리고 라투르와 헤러웨이 등 많은 학자들이 이미 포스트휴머니즘을 표방하면서 인간과 동물 사이의 관계를 새로운 정립시켜가고 있다. 역사학도 이에 기대어 인간의 관점에서 동물의 의미를 찾는 것이 아니라 동
    물 그 자체의 과거를 서술하려는 흐름이 생겨났다. 다만 인간이 역사를 만든다는 전통적인 역사학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이러한 시도가 부분적으로 낯설지 않을 수도 있다. 그것은 이미 역사의 주체가 아니었던 노동자나 여성에 대한 관심이 결국 노동사와 여성사를 낳았던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Animal studies have emerged and reached a maturity and acceptance level that could barely be imagined a few decades ago. There is no exception in the historiography. This review surveys recent historical writings on animals which will be established as a subfield of the discipline of history. Many books and articles on animal history have been written in the past several decades. The review shall focus on this main trends, themes and arguments, despite it being a daunting task.
    The literature on animal history in recent years can be divided into two periods. The first one traces back to the 1980s, when historians began to study animals mainly in sociocultural perspectives terms. At the outset the political hot issues, such as the movement for animal protection, antivivisection, were dealt with. As the study on animals developed, the topics of animal history extended to zoos, petkeeping, slaughterhouse, city animals, etc. However, there has been criticism of the social and cultural histories owing to its anthropocentric methodologies.
    The second period of the animal history began around the year 2000, when its paradigm changed. The posthumanist approach that animals should be treated as ‘historical’ actors, has permeated the research of the past. However, the problem of identifying traces of animal actions, lies in the fact that most of the archives have been written by humans. Posthumanist historians are making efforts to find other kinds of supplementary historical sources.
    It is very difficult for scholars to historically represent the animal’s point of view. However, we should keep in mind that the animal history is following in the footsteps of the labor and the women history, which experienced hard times long ago, but has finally enriched the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