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북 민요의 성격과 전승실태 - 경북 중남부지역 무형문화재를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of Gyeongbuk Folk Songs and the Reality of their Transmission - Focused on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the middle and southern Gyeongbuk Area -)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6.12
46P 미리보기
경북 민요의 성격과 전승실태 - 경북 중남부지역 무형문화재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요학 / 48권 / 3호 / 167 ~ 212페이지
    · 저자명 : 유대안

    초록

    이 논문은 경북 중남부지역 무형문화재 민요의 성격과 전승실태를 다룬 글이다. 대상 민요는 경북 중남부 낙동강 유역의 상주지역으로부터 경산지역에 이르기까지 상주민요를 비롯하여 구미발갱이들소리, 달성하빈들소리, 공산농요, 자인계정들소리 다섯 지역 소리다. 이들 민요는 시도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지 대략 10년에서 35년 정도 지난 지금의 주변상황이 지정될 당시와 사뭇 달라져 있다.
    다섯 지역 민요는 모두 농업노동요에 해당된다. 이들 지역은 낙동강을 낀 평야지대로 논농사가 발달되어 정자소리가 주를 이룬다. 여기에 작업노동요, 유흥요, 의식요, 한탄요 등이 첨가되어 6개에서 11개의 소리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농요는 과정이 특별하거나 특이한 노래로 구성되어 다른 농요와 차별성을 띤다. 구미, 하빈, 대구, 자인지역의 정자소리를 비롯한 작업노동요와 기타 소리들은 과정과 음악적 흐름이 비슷하여 같은 메나리토리권역 내에서도 상주지역과 구미 아래쪽 지역으로 양분되고 성격이 서로 대립되는 양상을 보인다.
    오늘날 지역의 민요 전승 상황은 그리 낙관적이지 않다. 외적으로, 전승자들의 고령화와 사망, 농촌 환경의 변화와 농촌 인구 감소는 전승자 확충에 큰 어려움을 겪는다. 전승지역에서 전승의 문제점이 드러난 만큼 전승지 확대와 전승인력 확충에 대안이 필요하다. 내적으로, 전수자들이 속한 지역 공동체의 가치관과 전수의지, 전수하는 사람과 전수받는 사람간의 관계 등이 전수활동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지역 민요에 대한 전수자들의 올바른 인식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전승교육 시스템 도입과 효과적인 전수관 운영이 필요하다.
    문화재로서 매번 동일하게 반복해야 하는 공연형태를 새롭게 시도하는 것은 민요에 대한 무한한 가능성과 민요 공연의 새로운 활로를 열 수 있다. 오늘날 현대인은 전통적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전승하는 것과 함께 이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양식과 가치를 창출하여 보다 높은 문화적 삶을 향수할 수 있어야 한다. 민요가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후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된 지금은 기존의 전승현장 상황이 바뀌어 발생된 문제점을 비롯하여 앞으로 발생될 문제점을 보완하고 새로운 활로를 마련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영어초록

    This thesis treated characteristics of folk songs and the reality of their transmission that were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the middle and southern Gyeongbuk area. Folk songs to research include Sangju folk song, GumiBalgaengiDeulsori, DalseongHabinDeulsori, GongsanNongyo and JainGyejeongDeulsori from five areas in the Nakdong basin from Sangju to Gyeongsan in the middle and southern Gyeongbuk area. It has been about ten to thirty-five years since the folk songs were designated as municipal and provincial intangible cultural asset, and the current situation is gradually changing.
    Folk songs in five regions are all characterized by agricultural labor song. These regions are plains alongside the Nakdong River in which rice-field farming is well developed with JeongjaSori dominating. Added to it are laboring song, entertaining song, ritual song and deploring song making the course between six to eleven. The course of agricultural song in each area is peculiar or differentiated from other agricultural songs. As for Soris in Gumi, Habin, Daegu and Jain area, JeongjaSori as well as laboring song and other Soris show a similar process and musical flow. Therefore even the same realm of Menaritori is divided into Sangju and lower Gumi with the characteristics confronting.
    Presently, the reality of transmission of folk songs in these areas are not such optimistic. Apparently the aging and death of transmitters, the changing environment in rural communities and the decrease of rural population bring difficulty in securing transmitters. The transmitting areas have already shown their regional limitations, requiring expansion of transmitting area and alternatives to securing transmitters. Internally the values, transmitting will and interrelationship of the communities to which transmitters belong have considerable effect on transmitting activity. It should be based on the correct recognition of transmitters on folk songs and the trust between transmitters and transmittee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systematic transmission education system and to operate more professional and practical transmission offices according to each preservation society.
    Pursuit of new form of performance, getting out of the form of folk song performance that is reiterated daily, comes to interpret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exploits the infinite possibility and ways of living. We can create a new style and value for contemporary modern people based on the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Now together with preserving and transmitting thing of the past, we should be able to enjoy a better life by creating a new culture. Now that folk songs are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assets, it is time to complement problems made and to be made and to prepare ountermeasures as the existing situation of transmission has chang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요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