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朝鮮 成宗代의 洛山寺 관련 문서에 대한 분석 - 稅役 면제 문서와 賜牌 - (Analysis of Documents Issued to Naksansa(洛山寺) Temple during Reign of King Seongjong(成宗), Joseon Dynasty : Documents for Tax Exemption and Sapae(賜牌))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4.02
19P 미리보기
朝鮮 成宗代의 洛山寺 관련 문서에 대한 분석 - 稅役 면제 문서와 賜牌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문서학회
    · 수록지 정보 : 古文書硏究 / 44권 / 57 ~ 75페이지
    · 저자명 : 카와니시 유야

    초록

    조선초기의 공문서는 사례 수가 워낙 적어 그 양식의 변천 과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고는 말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특히 조선초기의 사원 관련 문서는 거의 남아 있지 않아 본격적인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연구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로서 成宗代에 洛山寺에 발급된 2점의 문서를 예로 들어 그 내용과 문서양식, 발급배경 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문서 중 하나는 1470년(成宗 원) 4월 洛山寺의 雜徭와 鹽盆(製鹽하는 솥)稅를 면제한 것이다. 이 세역 면제 문서는 특이한 양식이지만, 그 기능으로 생각하면 世祖代의 免役 敎旨의 맥을 이은 것으로 생각된다. 또 하나의 문서는 1470년 6월 洛山寺에 노비 20명을 하사한 賜牌이다. 賜牌란 국왕이 노비나 토전을 사여할 때 사용하는 문서이다. 이 賜牌에는 洛山寺가 노비를 영원히 보유할 것을 인정하는 문언이 적혀 있는데, 이것은 문서가 발급된 후 10년이 지난 시기에 추기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 2점의 문서는 成宗이 先王 睿宗의 願刹인 洛山寺를 보호하고 睿宗의 명복을 빌 목적으로 발급한 것인데, 그 배경에는 당시 貞熹王后의 垂簾聽政과 院相制가 시행되고 있었고, 왕실 관계자들이 활발하게 사원을 보호하고 있었다는 사회 정치적 조건이 작용하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영어초록

    Due to the shortage of examples, there is little achievement focusing on how the style of official document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changed. Especially the number of the documents related to temple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s so small that there is almost no proper work on them. In order to develop such a situation, two documents issued to Naksansa temple are analyzed based upon its content, style, and background in this paper. One of the documents is to give an exemption from tax and labor for Naksansa Temple in April, 1470. This document is written by uncharted style which is considered to be based on the one us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世祖). Another one is a document written for providing 20 slaves for Naksansa temple in June, 1470. This document’s style is called Sapae which was used when King gives lands or slaves. This Sapae includes a passage saying that Naksansa temple was allowed to retain slaves forever. It is estimated to be written additionally 10 years after it issued. These documents were issued to mourn for the loss of the lives of King Yejong(睿宗). On the politics at that time, they were mainly managed by Empress dowager Jeonghui(貞熹王后) and ministers, and royal officials engaged actively in protecting temp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古文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4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