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완도지역 독립운동의 일사례: 김영현과 오석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Wando Region : Focusing on Kim Yeong-hyeon, Oh Seok-gyu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20.06
32P 미리보기
완도지역 독립운동의 일사례: 김영현과 오석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84호 / 243 ~ 274페이지
    · 저자명 : 김희태

    초록

    본고에서는 완도지역 원불교 관련 인사들의 행적을 정리하고 독립운동 사례를 살펴보았다. 소남 김영현(1883-1971)과 미산 오석균(1889-1973)은 교육운동과 사회운동에 함께 참여하면서 항일독립운동을 한다. 김영현은 1910-1919년 고금학교, 1921-1924년 상주 조명강습소, 1923 사립교인학교에서 교육운동을 한다. 1927-1934년 해남 북평면 서흥리에 동명학원, 북평면 이진리에 동광학원을 세워 운영한다. 1927년 4월 완도중학원이 설립되고 오석균이 교사로 참여한다.
    김영현은 완도소비조합(완도상회) 운동을 주도한다. 완도 청년회 연설과 완도상회 따위가 독립사상을 열렬히 주장하고 일본인 관리와 일본인을 배척하도록 교사하고 선동했다는 죄로 잡혀가 재판을 받게 된다. 1심에서는 징역 3월, 2심에서는 무죄를 받는다. 신간회완도군지회는 완도중학원에서 오석균의 사회로 1927년 8월 28일 창립총회를 했다. 회장은 임재갑, 부회장은 곽동식이었고 김영현은 간사로 참여 하였다. 김영현은 1958년 원불교에 귀의한 뒤 원불교 불목교당을 설립하고, 전답 1만 6천평을 희사하여 현재의 소남훈련원이 만들어졌다. 오석균은 1958년 은산 김현관(1893-1963)의 인도로 입교했고 1961년 73세에 전무출신으로 출가했다. 중앙총부 예감 등을 지냈다.
    소남 김영현의 경우는 소득증대를 위해서 농어촌 근대화를 장려했는데 소비조합 운동이 대표적이다. 그리고 미풍양속과 효행을 후진에게 몸소 보였다. 미산 오석균의 경우는 기독교 단체에서 활동하지만, 천도교 등 다른 종교의 청년회와 연합해서 활동하는 이력을 보여 준다. 특히, 김영현과 오석균이 함께 활동하면서 추구한 교육계몽사업은 항일 의식의 고취라는 시대적 소명도 있었지만, 교육을 통해 평등을 추구했다. 이같은 교육운동을 통해 배출된 후학들은 완도 곳곳에서 일어난 독립운동과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주역이 되었다. 이처럼 항일민족독립운동은 시대를 앞서간 선지자들이 당대의 시대정신을 온몸으로 극복해 나가는 과정이었다고 하겠다. 그 같은 에너지가 자연스레 종교운동으로 전환되어 원불교 귀의로 종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e traces of figures related to Won Buddhism in the Wando region were summarized and case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were examined. Sonam Kim Yeong-hyeon (1883-1971) and Misan Oh Seok-gyun (1889-1973) engaged in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while participating in education movements and social movements.
    Kim Yeong-hyeon engaged in educational movements at Gogeum School from 1910 to 1919, Sangju Jomyeong School from 1921 to 1924, and the Private Gyoin School in 1923. Kim Yeong-hyeon also founded and operated the Dongmyeong School at Seoheung-ri, Bukpyeong-myeon, Haenam and Donggwang School in Ijin-ri, Bukpyeong-myeon from 1927 to 1934. The Wando Jung School was founded in April 1927 and Oh Seok-gyun participated as a teacher.
    Kim Yeong-hyeon led the Wando Consumer Union (Wando Association) and he was arrested and tried on charges that he incited and instigated people to exclude Japanese administrators and Japanese people while encouraging independence ideologies through his speeches for Wando youth associations and through the consumer union and the Wando Association. He was sentenced to three months in prison in the first rial and pronounced innocent in the second trial. The Shinganhoe Wando Branch held the founding assembly at the Wando Jung School on August 28, 1927 emceed by Oh Seok-gyun. The chairman was Lim Jae-gap, vice-chairman was Kwak Dong-shik and Kim Yeong-hyeon joined as an assistant administrator.
    Sonam Kim Yeong-hyeon founded the Won Buddhism Bulmok Temple after converting to Won Buddhusim in 1958 and donated approximately 53,000 square meters of his farmland to build today’s Sonam Training Institute. Misan Oh Seok-gyun entered the faith at the guidance of Eunsan Kim Hyeon-gwan (1893-1963) in 1958 and joined the priesthood in 1961 at the age of 73. He served as an executive at the headquarters of Won Buddhism. In the case of Sonam Kim Yeong-hyeon, he encourage modernization of rural areas to increase income and he is noted for his consumer union movement. He also demonstrated beautiful and fine customs and filial behavior to others by setting examples.
    In the case of Misan Oh Seok-gyun, he was active in a Christian organization, but he also teamed up with youth associations of other religions such as the Cheondogyo. In particular, Sonam Kim Yeong-hyeon and Misan Oh Seok-gyun worked together in the educational enlightenment project, and while it had the mission to enhance awareness for resistance against, Japan, it also pursued equality through education. The scholars trained through such educational activities became the key players of independence movement that broke out all around Wando as well as for the Gwangju students’ independence movement.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was a process in which pioneers ahead of their time overcame the zeitgeist of the times all on their own. Such energy was naturally converted to religious movements and ended with conversion to Won Buddh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