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역(周易)』 역사(易詞) 형성과 서법(筮法)의 상관관계 (An Inquiry into the Relation between the Formation of Statements in the Zhouyi(周易) and the Divination Method)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8.08
27P 미리보기
『주역(周易)』 역사(易詞) 형성과 서법(筮法)의 상관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종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종교연구 / 78권 / 2호 / 59 ~ 85페이지
    · 저자명 : 임재규

    초록

    본 논문은 『주역(周易)』 그 자체 즉 『주역(周易)』 고경의 형성과정과 서법(筮法)의 상관관계를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필자는 이를 위해 춘추시대, 전국시대, 경학시대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첫째, 춘추시대에는 현재 통용되는 효제(爻題)가 쓰이지 않았고, ‘모괘지모괘(某卦之某卦)’라는 형식의 효제(爻題)가 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모괘지모괘(某卦之某卦)’의 형태는 효사를 형성하는 가장 근원적인 원인이 되었을 것으로 판단되고, 이러한 ‘모괘지모괘(某卦之某卦)’의 형태에 기반하여 효사가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전국시대 현재 통용되는 양효와 음효의 등장과 현재 통용되는 효제(爻題)의 등장은 『주역(周易)』 괘효사의 해석에 매우 중대한 영향을 미쳤
    을 것으로 생각된다. 사실 서주 초기 『주역(周易)』 괘효사가 형성될 때 64괘의 형태는 숫자괘의 형태로 추정된다. 반면에 전국시대에 들어오면서 현재 통용되는 양효와 음효의 등장과 현재 통용되는 효제(爻題)의 등장으로 인해 전국시대의 64괘의 형태는 서주 초기 64괘의 형태와 상당한 정도로 변화되었다. 왕필은 『주역(周易)』 해석에 있어서 서법(筮法)의 영향을 제거
    하였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효제(爻題)의 등장으로 인한 효의 위치와 효의 음양을 『주역(周易)』 해석의 중요한 요소로 삼기 시작했다. 셋째, 경학시대를 대표하는 주자의 서법에 관한 이해는 『주역본의(周易本義)』의 「서의(筮儀)」와 『역학계몽(易學啓蒙)』의 「명시책(明蓍策)」과 「고변점(考變占)」에 나와 있다. 필자의 판단에 의하면 주자는 이러한 서법과 『주역(周易)』 역사(易詞)의 형성이 서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보는 것 같다. 즉 주자는 『주역(周易)』의 괘효사는 지괘(之卦)와 관련없이 본괘(本卦)에 대한 관찰에 의해서 형성되었다고 본다. 이는 기본적으로 왕필의 인식과 맥락을 같이한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조선후기의 대표적인 학자인 다산의 서법에 대한 이해는 『주역사
    전(周易四箋)』의 「시괘전(蓍卦傳)」에 잘 나와 있다. 이는 다산이 주자의 서법을 받아들이지 않고 독창적인 서법을 창안한 것으로 그 핵심은 하나의 효만 변한다는 ‘일효변(一爻變)’에 있다. 다산에 의하면 주공이 이 ‘일효변(一爻變)’에 의한 변괘에 기반하여 효사를 지었다고 본다. 따라서 다산에 있어서 서법과 『주역(周易)』 역사(易詞) 형성은 서로 분리할 수 없는 관계가 된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필자는 서법(筮法)과 『주역(周易)』 역사(易詞) 형성의 상관관계에 대해 대략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즉, 『주역(周易)』역사(易詞)의 형성과 서법은 일정한 상관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춘추시대의 효제가 ‘모괘지모괘(某卦之某卦)’의 형태라는 추정이 가능하다면 『주역(周易)』 역사(易詞)의 형성과 서법은 불가분의 관계를 가질 수밖
    에 없다는 점이다. 물론 전국시대에 이르러 현재 통용되는 효제의 등장으로 인해 『주역(周易)』 역사(易詞)의 해석에 있어서 서법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었다고 판단된다. 왕필과 주자의 역학이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quiries into relations between the formation of the main text of the Zhouyi(周易) and divination methods. How the main text of the Zhouyi and statements of the hexagrams and lines were formed is a crucial question.
    First. we conjecture that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the current names of the lines were not used and instead the form of “such and such a hexagram of such and such a hexagram” was likely used. Thus. we can conjecture the form of “such and such a hexagram of such and such a hexagram” appeared prior to the statements of lines in the Zhouyi. I conclude that the form of “such and such a hexagram of such and such a hexagram” was the basis of formation of the statements of the lines. Second. while the names of lines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took the form of “such and such a hexagram of such and such a hexagram.” the current formula of names of lines—like the first. the second. the third. the fourth. the fifth and the Nine on the top—appeared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The emergence of the current form of naming lines was a critical event in the history of Zhouyi studies because the emergence names of lines is novel ground for interpreting the Zhouyi. Wang Bi rejected the divination method in interpreting the Zhouyi and considered the place of lines and the yin/yang line as crucial to its interpretation. Third. Zhu Xi’s understanding of the divination method appeared in the the shiyi 筮儀 of the Zhouyi benyi and in the mingshice 明蓍策 and the Gaobianzhan 考變占 of the Yixue qimeng. Zhu Xi’s divination method has been understood as the same as that of the Spring and Autumn and Warring States periods. What then is Zhu Xi’s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 between the divination method and the formation of statements? In my view. Zhu Xi sees no relations between them. For Zhu Xi. the statements of the hexagrams and lines were formulated in observation of the hexagrams without zhigua. In this regard. he agrees with Wang Bi. Fourth. Dasan’s understanding of the divination method appears in the
    sigwejeon 蓍卦傳 of the Juyok sajeon. Rejecting Zhu Xi’s method. Dasan created an original method in which the most important idea is ilhyobyeon 一爻變. that only single line changes appeared. According to Dasan. the Duke of the Zhou created statements of the lines based on biangua using ilhyobyeon. For Dasan. the divination method is intertwined with the formation of statements in the Zhouyi.
    Regarding the relations between the divination method and the formation of statements in the Zhouyi. I conclude as follows. Plausible relations existed between them. If we can conjecture the names of the lines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took the form. “such and such a hexagram of such and such a hexagram.” there should be a necessary relation between them. With the emergence of the current system of naming lines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the impact of the divination method upon the interpretation of the statements
    declined. We can understand Wang Bi and Zhu Xi’s understanding of the Zhouyi in this contex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종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