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남 서부지역 삼국시대 수혈건물지의 구들연구 (Study on Ondol of Residences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Western Part of Gyeongnam)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08.03
32P 미리보기
경남 서부지역 삼국시대 수혈건물지의 구들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고학보 / 66호 / 90 ~ 121페이지
    · 저자명 : 공봉석

    초록

    본 연구는 경남 서부지역의 삼국시대 수혈건물지 내 구들을 통해 수혈건물지의 특징을 파악하는 데 목적
    이 있다. 삼한시대에서 삼국시대로 이행됨에 따라 구들과 부뚜막의 채용은 전국적으로 나타나는 보편적
    인 현상이지만, 그 양상은 각 지역마다 상이하게 나타난다. 경남 서부지역 수혈건물지의 평면형태는 타
    원형을 띠고 있으며,주로 평지에 입지한 유적에서만 구들이 확인된다. 구들은 형태적인 특징을 통해 크
    게 I형과 II형으로 분류되는데, 구들 I형은 경남 서부지역에 한해서는 삼한시대 유적에서만 나타나는 형
    식으로 사천 늑도 유적과 사천 방지리 유적에서 확인된 바 있다. 구들 II형은 삼국시대의 것으로 주로 원
    형계 수혈건물지에 부가되며,특히 경남 서부지역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인다. 구들 I형과 구들 II형이 구
    조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은 시기변화에 따른 구들 I형의 문제점을 개선하여,취사와 난방의 효율성을 높
    이기 위한 기술적인 변화상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경남 서부지역의 구들은 수혈건물지 내부에 일정한 정형적인 패턴을 가지고 설치되는 경향을 보이는데,
    기후 환경과 유적이 입지한 지형에 따른 난방 효율성 극대화와 화재 예방을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
    고 구들은 수혈건물지의 구조와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지는데,구들 II형은 타원형 수혈건물지의 분포 범
    위와 궤를 같이 하고 있다. 타원형 수혈건물지의 분포범위는 주로 경남 서부지역을 중심으로 동으로는
    낙동강 以西에서 서로는 지리산 以東까지이며, 북으로는 소백산맥 以南이 주 분포범위이다. 하지만 주
    분포범위 밖으로 일정한 범위에서는 방형 및 타원형 수혈건물지가 혼재하는 양상을 보이는데,경남 서부
    지역의 타원형 수혈건물지 문화와 인접한 방형 수혈건물지 문화의 점이지대로 파악된다. 타원형 수혈건
    물지는 동일시기에 경남 서부지역에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적인 주거양식으로,이를 주체로 하는 가
    야 주거문화를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through the features of
    ondol (traditional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 in residence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western part of Gyeongnam. The use of ondol and
    cooking-ranges, which were passed down from the Samhan (Three Hans)
    Period to the Three Kingdoms Period, is typically seen throughout the nation,
    but its appearance together with the types of residences, are different in each
    region. The plane of residences in the western part of Gyeongnam is oval
    shaped and ondol can usually be found in flat lands. White internal
    constructions materials during the Samhan Period used flagstones, clay was
    most frequently used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This change of construction
    materials is understood to have been caused and developed by not only ease of
    extracting materials, but in order to express detailed ondol structures and to
    prevent smoke leaking into the room.
    Based on the formative features of the ondol, it is generally grouped as I
    type or II type. ondol I types are types that appear only in remains of the
    Samhan Period at the western part of Gyeongnam and they have been
    confirmed at Sacheon Neukdo remains and Sacheon Bangjiri remains. ondol II
    types are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are typically appended on
    circular residences, showing a particular concentration on the western areas of
    Gyeongnam. The ondol I-types of the Samhan Period are ‘가’ shaped and the
    point in which the cooking-range and hypocaust connects is bent at almost a
    right angle. On the other hand, II-types are normally added to the oval-shaped
    residences and follows the curvatures of the residence to naturally connect the
    cooking-range and hypocaust, giving the general plane the appearance of an
    arc. Fundamentally, type I and type II are the same heating system, but the
    detailed differences show the technological changes for enhancing cooking and
    heating by addressing the problems of ondol I type with the passing of time. On
    the other hand, the change of the structure for smooth ventilation and high
    heating efficiency has a high possibility that it first took into consideration fire
    prevention by moving the ondol to the edge of the building.
    The above ondol II type has these features only when added to residences
    built on an oval shaped plane and the II type has the same distribution range of
    oval residences. The distribution range of oval-shaped residences were focused
    mainly on the western part of Gyeongnam and to the east up to western
    Naktonggang (Riv.), west up to the eastern part of Jirisan (Mt.) and to the north
    up to Sobaeksanmaek (mountain range). However, in a certain range outside of
    the main distribution range, a combination of square and oval residences are
    apparent and it is recognized to be the crossing point of the oval residential
    culture of western Gyeongnam and the nearby square residential culture. The
    plane form of residences seen in ondol I types are almost all square typed, while
    the residences confirmed in II types show a circular shape. This suggests that the
    structure of ondol are directly related with the structure of the residences.
    The oval shaped residences and ondol II types are a cultural belt centered
    around the western part of Gyeongnam and can be said to show the actual
    residential lifestyle of that period. As explained above, the oval-shaped
    residences are the unique residential lifestyles concentrated on the western part
    of Gyeongnam during the period mentioned and I believe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it represents the Gaya residential culture subjected to oval shaped
    residen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