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제 中方城의 설치와 고부지역의 통치양상 (The Installation of Jungbangseong and the Adminstration of Gobu Region in Baekje)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9.06
34P 미리보기
백제 中方城의 설치와 고부지역의 통치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마한백제문화 / 33권 / 5 ~ 38페이지
    · 저자명 : 김영심

    초록

    본고는 백제 5방제 하의 중방성인 고부지역에 초점을 맞추어 고부지역이 백제의 영역으로 편입되어가는 과정, 고부지역에 대한 백제의 편제방식, 5방제 하의 고부지역에 대한 통치의 양상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편린이나마 문헌 속에 보이는 古沙夫里, 즉 고부지역에 관한 기록을 통해서 고부지역이라고 하는 곳이 백제라는 국가가 영역을 확대해가는 과정에서 어떤 위치에 있었는지를 먼저 살펴보았다. 『三國史記』 온조 36년조의 古沙夫里城 축조 기사와 『翰苑』 소인 『括地志』의 “國鎭馬韓 地苞狗素”라는 기록에서 드러나듯이 백제의 남방영역확대과정에서 고부지역은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 『日本書紀』 신공 49년조의 比利 등의 항복 기사와 古沙山 맹서는 백제가 고부를 비롯한 전북지역을 영역으로 확보했음을 의미한다.
    古沙夫里城, 즉 고부읍성에 대한 발굴성과와 주변지역의 고분군, 산성에 대한 발굴성과를 토대로 고부지역이 백제의 지방으로서 어떻게 편제되어 나갔는지, 中方城은 어떠한 목적에서 설치되었는지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정읍지방에는 모두 18개소의 관방유적이 있는데 고사부리성에 대한 발굴에서 上卩, 上巷銘 瓦가 출토되었고, 고부면과 영원면 일대에서 은선리고분군 등의 횡혈식석실분이 다수 확인되어 고사부리성이 중방성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수도를 중심으로 전략적 요충지에 四方城이 두어졌다가 후에 四方城의 偏在를 극복하기 위한 방편으로 국토의 중앙에 해당하는 지역에 中方城이 두어졌을 가능성이 크다. 고부지역이 중요한 교통로이고, 배후에 풍부한 농업 생산기반을 가지고 있다는 점도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5방제 하 고부지역의 통치양상과 관련하여서는 최근 출토된 목간자료를 통하여 간단히 살펴보았다. 부여 관북리 285호 목간은 중앙에서 中方에 병기를 分與한 내용을 기록하고 있어, 方이 군정의 측면에서 중앙과 직접 연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고부읍성에서 발견된 ‘上卩〇〇’ ‘〇卩上巷’명 인장와를 근거로 5방성 정도에서는 部-巷制가 실시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部制가 실시되었을 가능성은 높으나, 部 밑에 巷이라는 단위로까지 편제되었는지는 아직 확실히 알 수 없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explores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Gobu region, Jungbangseong(中方城) area in Baekje’s system of five Bang, was integrated into the realms of Baekje, Baekje’s governing style of Gobu region, and the administration style in Gobu region under the system of five Bang. Though the fragments of historical materials were available, I can conclude that Gobu region was the important regional post for expanding the southern territory of Baekje reviewing the records on the Gobu region in the documents such as Samguksaki(三國史記) and Hanwon(翰苑).
    I reviewed the process of integrating the Gobu region into the Baeje territory as a regional parts and the purpose of installation of Jungbangseong, based on the archaeological achievements on the Gosaburi-seong, that is to say Gobu Eupseong(古阜邑城), and on the archaeological achievements on the series of Gobun(ancient tombs) and Sanseong(mountain fortress). Jeongeup area has 18 Kwanbang(關防) remains. From the excavation of the Gosaburi-seong, roof-tiles inscribed with Sangbu(上卩) and Sanghang(上巷) were found. In the areas of Gobu-myon and Youngwon-Myon, many Baekje stone chamber tombs were discovered including group of Eunseon-ri old tombs. From these facts, I can infer that the Gosaburi-seong might be Jungbangseong. Baekje might have installed 4 Bangseongs(方城) in the posts of strategic importance. In the afterwards, Baekje installed Jungbangseong at the center of territory for the overcoming the weakness of maldistribution of 4 Bangseongs. The facts that Gobu region provided the important traffic routes and had abundant infrastructures for agricultural productions might have influenced the decisions for installing the Jungbangseong.
    The condition of administration in Gobu region under the five Bang system was examined simply through the wooden tablet discovered recently. Buyeo Kwanbuk-ri #285 wooden tablet, which recorded the fact that central government provided the armours, can be used for the evidence of Bang’s direct relationship with central government in the side of military policy. The discovery of roof-tiles which have the inscriptions ‘上卩〇〇’, ‘〇卩上巷’ with seal in Gobu Eupseong can be regarded as the evidences for the implementation of Bu-system(部制), however, it is not certain that Hang(巷) was the lower level administration unit under the Bu(部).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