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서부지역 청동기시대 후기 취락의 특징과 전개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Late Bronze age settlement in midwest region)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23.10
35P 미리보기
중서부지역 청동기시대 후기 취락의 특징과 전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서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서고고학 / 56호 / 108 ~ 142페이지
    · 저자명 : 이승현

    초록

    본고는 중서부지역 청동기시대 후기 사회의 문화접촉과 문화변동과정을 분석한 것이다. 우선 청동기시대 후기를 3개 시기로 구분한 후, 시기별 취락 입지, 입지별 생업경제, 시기별 문화접촉강도, 문화접촉의 동인에대해 살펴보았다. 초기의 취락은 고지성 입지에 조성되었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저지대의 구릉성 입지로 확대되었다. 이러한 입지 유형의 변화는 생업경제 특히 농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이러한 변화와 함께원형점토대토기문화와 역삼동·송국리유형의 문화접촉의 강도 또한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였다. 이러한 문화접촉의 배경에는 토기를 통한 유형간의 생계 교류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음으로 역삼동·송국리유형 취락에서 외래계요소의 등장과 변화과정을 통해 문화접변과 문화변동과정에 대해 살폈다. 1기에는 취락에서 확인되는 수석리식토기의 개수가 적은 데 반해, 재지계 무덤에서 원형점토대토기와 흑도장경호가 세트로 부장되는 양상이 주로 확인되었다. 이는 유형 간의 지속적인 문화접촉보다는 일회성 이주와 같은 단발적인 접촉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2기에는 원형점토대토기문화 취락이 구릉성 입지로 확대되고 유형 간의 접촉 또한 증가한다. 일부 취락에서는 수석리식토기가 다수 확인되거나 수석리식토기를 모방한 토기가 출토된다. 또한 수석리식토기를 자체 생산하는 취락도 확인된다. 이는 문화접촉이 다변화되면서 다양한 문화접변현상이 일어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들은유형 간의 갈등관계가 해소되고 공생관계가 시작되면서 생계 교류가 활성화된 것과 관련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3기에는 유형 간의 공생관계를넘어서서 원형점토대토기문화로의 변동과정이 확인된다. 역삼동·송국리유형 취락에서 수석리식주거지 및 적석목관묘 등의 외래계 물질문화가등장하고, 외래계토기의 비율이 재지계토기보다 높아지는 것에서 알 수있다. 이와 같이 중서부지역 청동기시대 후기 사회들은 시간이 지날수록갈등관계가 해소되고 문화접촉의 강도가 커지면서 여러 형태의 문화접변현상들이 나타나고 최종적으로는 원형점토대토기문화로 문화변동이 일어난 것으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cultural contact and cultural change process of late Bronze Age societies in the Midwest region. First of all, the late Bronze Age was divided into three periods and examined the change in the location of settlement, subsistence economy of each location, intensity of culture contact, motives of culture contact. The settlement was initially built in the highlands, but gradually expanded to the lowlands over time. These changes in location type were closely related to subsistence economy. The strength of cultural contact between the Round Clay-stripe pottery culture and the Yeoksamdong/Songgukri assemblage also intensified with time Because the number of Suseokri-type pottery increased in Yeoksamdong/Songgukri assemblage. The background of this cultural contact is presumed to be closely related to subsistence exchange between assemblages, as can be seen from the use of utilitarian pottery.
    Next, This study traced the emergence and change process of exotic elements in Yeoksamdong and Songgukri assemblage settlements. In the first period, it was confirmed that a set of Round Clay-stripe pottery and Black burnished long-necked jar were mainly buried in the graves of indigenous people. It can be seen that the Yeoksamdong and Songgukri assemblage accepted foreign culture to a certain extent, but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cultural contact between assemblages was once-off event such as a one-time migration rather than a continuous cultural contact since the number of Suseokri-type pottery found in the settlements is small. In the second period, the Round Clay-stripe pottery culture settlement begin to expand the hilly location, and contact between assemblages also increases. a number of Suseokri-type pottery or a imitation pottery are found in some villages. Evidence of production of Suseokri-type pottery has been identified. These trends are believed to be associated with the resolution of conflict between assemblages and the initiation of a symbiotic relationship, leading to the activation of subsistence exchange. As a result, it is thought that cultural contact has diversified and various cultural acculturation have appeared. In the third period, the process of change to the Round Clay-stripe pottery culture beyond the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the assemblage is confirmed. In the Yeoksamdong and Songgukri assemblage settlements, foreign material culture such as Suseokri-type dwelling and wooden coffin tomb with stone mound appeared, and the proportion of foreign pottery is also higher than that of indigenous pottery.
    Thus, The societies in the late Bronze Age of midwest region gradually show a resolution oftombs of Pyoungyang Jinpari of Koguryo Kang, Hyun-sook conflicts and an increasing intensity of cultural contact over time, resulting in various forms of cultural acculturation. Ultimately, it can be summarized that cultural changes occurred in the Round Clay-stripe pottery cul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호서고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