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碩齋 尹行恁의 ‘義理’ 중심 易學觀과‘四書’ 활용 양상 - 「經史講義_『易』[癸卯(1783)]」․「薪湖隨筆_『易』․「繫辭傳」」을 중심으로 - (Aspect of use of 'The Four Books' and Suk - Jae Yoon Haeng - Im's viewpoint of 'Yili' - oriented Ichingxue - mainly with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6.03

36P 미리보기
碩齋 尹行恁의 ‘義理’ 중심 易學觀과‘四書’ 활용 양상 - 「經史講義_『易』[癸卯(1783)]」․「薪湖隨筆_『易』․「繫辭傳」」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61호 / 157 ~ 192페이지
    · 저자명 : 남윤덕

    초록

    『周易』은 윤행임의 경학관을 살필 수 있는 핵심 키워드 중 하나이다. 정조와 함께 참여한 ‘經史講義’에서 윤행임은 『周易本義』와 『易傳[程傳]』을 바탕으로 역학의 논리를 습득하였고, 자신의 「薪湖隨筆『易』․「繫辭傳」」에서 더욱 완성시켜 나갔다. 정조에 의해 처음 시도되었고, 윤행임이 참여했던 계묘년(1783) ‘경사강의_『역』’은 총 4번에 걸친 『주역』 강의 가운데 가장 많은 분량을 할애하여 『역』 전체를 세세하게 다루었다. 윤행임이 역학에 남다른 열정을 보인 이유도 계묘년 ‘경사강의’가 하나의 큰 계기가 되어서였다.
    경사강의 당시 정조는 비교적 ‘義理易學’에 비중을 두었다. 윤행임의 학문은 정조와 함께 했던 기간 동안 큰 발전을 이룩하였고, 그 당시 정조로부터 받은 학문적 영향이 고스란히 『신호수필』로 이어졌다. 경사강의를 통해 전수받은 ‘의리’ 중심의 『주역』 해석방식은 윤행임의 역학관에 영향을 주어 윤행임이 ‘의리역학’을 긍정하게 하는 결과를 낳았다.
    윤행임의 『주역』 해석은 『본의』와 『정전』을 충실히 따르는 전제하에 程朱와 논리를 달리한 기타 易說들을 비교분석, 경계하고 비판하며 正學인 주자학을 지키고 보완하려 하였다. 윤행임은 ‘象數易學’을 긍정하면서도 잘 못 이해하여 사리에 맞지 않거나, 占筮에 치우친 편협한 曲儒들의 ‘상수역학’은 반대하며, 이를 바로잡아 절충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윤행임은 林栗, 吳澄, 邱富國, 胡仲虎의 주장에 대해선 비판적인 견해를 보였다. 이는 『본의』와 『역전』을 따르지 않고 『역』을 해석하려는 학자들에 대해 자신의 입장을 명확히 한 것이다.
    한편 윤행임은 경전해석에 있어서 『역』의 관계성을 중시하며, ‘四書’ 활용 방식을 통해 ‘의리’ 중심 『역』 해석을 완성해 나갔다. 특히 『대학』․『중용』이 『주역』에 근원하고 있다는 주장은 윤행임 『역』 해석의 큰 특징을 이룬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윤행임의 ‘의리역학’은 정조시대 『주역』 해석방식의 한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易學史的 의의가 있다. 윤행임의 ‘의리’ 중심 역학관은 어디까지나 폐단에 빠지기 쉬운 ‘상수역학’의 경계를 통해 주자의 ‘兼治象義’ 역학관을 보완하고, 더욱 더 완성된 주자학의 보수성 짙은 체계를 세워 그 기준을 잡고자 했던 정조와 그의 意志가 만들어낸 부산물이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e Book of Changes』 is one of the core key-words to study Yoon Hang Im's view of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He learned the logic of Ichingxue at ‘KyungSa-Lecture’ that he joined with King Jeong-Jo based on 『The Book of Changes-BenYi』 and 『Iching- Chuan』 and he kept completing it in his 「Shin-ho-essay_『Iching』·『Xi-Ci- Zhuan』」. <KyungSa-Lecture_『Iching』> dated 1783 (Jeong-Jo tried to do for the first time and Yoon Haeng-Im joined in) was treated too much detailedly at the most volume among total four 『The Book of Changes』 lectures. And then, this was a big opportunity that Yoon Haeng-Im specially showed his passion to 『Iching』.
    Jeong-Jo gave respectively weight to <Yili-Ichingxue> at that KyungSa- Lecture. Yoon Haeng-Im's literature came into remarkable development during the period being with Jeong-Jo and academic influence from Jeong-Jo directly lead to 「Shin-ho-essay」.
    The way of ‘Yili’-oriented interpretation about 『The Book of Changes』 (that was handed down from KyungSa-Lecture) influenced the viewpoint of Yoon Haeng-Im’s Ichingxue and after all, it let Yoon Haeng-Im being positive to ‘Yili-Ichingxue’.
    under the premise to faithfully follow 『The Book of Changes-BenYi』 and 『Iching-Chuan』, Yoon Haeng-Im's interpretation about 『The Book of Changes』 was to compare, analyze and criticize the other logic of Ichingxue logically different from Cheong․Zhu at the same time and keep and complement Zhuxi as right science. Yoon Haeng-Im was positive about ‘Xiangshu- Ichingxue’ at the same time and was against ‘Xiangshu-Ichingxue’ of the scholars who was unreasonable or one-sided to book on divination. And he emphasized to compromise them by putting things right.
    Yoon Haeng-Im showed his critical view on the opinions of Lim-ryul, Oh-jing, Gu bu-guk and Ho joong-ho. this means that Yoon Haeng-Im made his position clear against the scholars who tried to interpret 『The Book of Changes』 without following 『The Book of Changes-BenYi』 and 『Iching-Chuan』.
    On the other hand, he completed interpretation about ‘Yili’ oriented 『Iching』 through the way of using ‘The Four Books’ that are chinese classic texts:Great Learning, Doctrine of the Mean, Analects & Mencius. especially, his insistence that Dae-Hak & Jung-Yong were grounded on 『The Book of Changes』 is a notable distinction.
    In conclusion, this Yoon Haeng-Im's ‘Yili-Ichingxue’ has great historical significance on the point to show a paradigm of the interpretation method about 『The Book of Changes』 during the era of King Jeong-Jo.
    Yoon Haeng-Im's ‘Yili’-oriented viewpoint of Ichingxue was a residual product from Jeong-Jo's and Yoon's strong will that was to correct the standard by setting up conservative system of the perfectly completed orthodox Neo-Confucianism as well as to complement the viewpoint of Zhuxi's ‘Gyeom-Chi-Sang-Yi’ Ichingxue through the boundary of ‘Xiangshu- Ichingxue’, easily prone to negative effec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