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구 월배지역 입석의 기능과 출현 배경 (The functions of the menhirs located in the Weolbae Alluvial Fan, Daegu City and their emerging background)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20.06
34P 미리보기
대구 월배지역 입석의 기능과 출현 배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영남학 / 73호 / 159 ~ 192페이지
    · 저자명 : 김권구

    초록

    이 논문에서는 대구 월배지역 입석의 기능과 출현 배경의 검토를 목적으로 한다. 입석의 분포상황, 지형, 월배지역 청동기시대의 취락과 지석묘군 분포양상, 영남지역 청동기시대 후기의 사회문화상과 생업양상을 종합적으로 고찰하는 것이 이 논문에서의 연구방법이다.
    검토 결과 월배지역 입석군(立石群)은 농경정착사회의 전개과정에서 집단영역의 배타적 점유강화방식의 일환으로 청동기시대 후기(송국리단계)인 기원전 8세기-기원전 4세기에 축조된 농경정착사회기념물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판단되었다.
    입석의 기능도 분화되어 집단영역의 경계표시물, 제사의례기념물 혹은 추상적-집합적 조상제사의 출현을 상징하는 기념물로 전개되는 모습이며 입석의 상징적 의미도 다양화되고 중층화되며 변화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진천동 입석의 암각화가 보여주듯 입석과 같은 거석문화와 암각화가 결합하는 양상이다. 또 입석은 자연영역과 인위적 취락의 공간을 구획하며 집단차원에서는 집단이 인지하는 세계의 중심으로서의 의례센터표시 역할을 하는데 사용되면서 취락 내에서는 거주영역, 무덤영역, 의례영역, 경작영역 등을 구획하는 좌표로도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입석을 축조한 월배선상지 내의 취락분포양상과 취락구조를 보다 세부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입석의 동시기성 확인을 위하여 앞으로의 과제로 남아 있다. 또 월암동 1호 입석과 월암동 3호 입석의 경우 지금까지 이루어진 아주 좁은 면적에 대한 시굴조사를 통해 확인된 토층만으로 입석의 축조시기를 판단하는 것에는 미진한 바가 크므로 입석축조시기의 보다 정확한 판단을 위하여 그 주변 지역에 대한 조금 넓은 범위의 발굴조사가 필요하다. 입석의 재질에 대한 과학적 분석을 통해 입석으로 사용된 암석의 채석장소를 파악하는 것도 요망된다.

    영어초록

    This thesis aims to review the functions of the menhirs located in the Weolbae Alluvial Fan, Daegu City and their emerging background. To do so the following variables have been analyzed comprehensively: their distribution, topography and geographical features, the distributions of both settlements and dolmens during the Bronze Age, the general pictures of the socio-cultural features and subsistence in Youngnam Region during the Korean Bronze Age, etc.
    The analysis has reached a conclusion that a series of the menhirs located in the Weolbae Alluvial Fan, Daegu City, had been built up during the Late Bronze Age dated from 8th Century BCE to 4th Century BCE(called the Songguk-ri Phase), which had witnessed the agricultural intensification and village life by the agricultural sedentary groups. That is, the agricultural villagers had built up a series of the menhirs as a strategy not only to reproduce their exclusive right of their village territory including agricultural fields but also to justify it. So it is reasonable to consider a series of the menhirs as a monument for an agricultural sedentary society in the Weolbae Alluvial Fan, Daegu City.
    The menhirs have been thought to have various functions such as village territorial markers(for example, menhirs at Weolam-dong and Sangin-dong), a ritual center marker or abstractive - collective ancestral worship center(for example, the menhir at Jincheon-dong), village space-dividing standard monument, group’s symbolic landscape monument and so on. The functional diversification of the menhirs had been occurred and their symbolic meanings had been diversified and changed continuously so that their symbolic cultural layers have had multiple meanings. The villages in the Weolbae Alluvial Fan, Daegu City had spatial divisions such as dwelling areas, cemetery areas, ritual areas, agricultural fields, and so on. The menhirs are thought to have been spatial standard monument to recognize the location of each area. In addition the menhir at Jincheon-dong vividly shows the incorporation of megalith culture and petroglyph culture.
    There are many future research challenges to seek more solid evidences on dating of menhirs, their builder’s settlement patterns and structures over time, and future excavation of the wider areas around the menhirs no. 1 and No. 3 at Weolam-dong. So the contemporaneity of the menhirs must be revisited further in the future by way of more accumulating stratigraphic evidences. The characterization study of menhir stone must be fulfilled to identify stone quarrying sour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