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북한 역사서의 근현대음악사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Music History of North Korea)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7.12
34P 미리보기
북한 역사서의 근현대음악사 인식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음악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사학보 / 59호 / 83 ~ 116페이지
    · 저자명 : 배인교

    초록

    이 글은 1950년대부터 2000년대에 걸쳐 북한에서 출판된 음악사 저술을 검토함으로써 북한음악사 서술의 변화 양상, 특히 근대와 현대의 시기구분의 변화에 주목하였다.
    1956년의 『해방후 조선음악』에서는 1945년 8.15 이후를 북한 현대음악사의 시점으로 인식하였으며, 인민이 만들어낸 사회주의적 음악에 주목하였다. 1966년에 출판된 『조선음악사』에서는 전근대와 근대 음악사의 기점을 명시하였다. 즉, 19세기 말의 갑오농민전쟁(甲午農民戰爭) 즈음으로 상정하고 있는 점에 눈에 띈다. 또한 현대 북한음악의 기원을 일제강점기 카프(KAPF)의 음악활동에서 찾고 있었다. 1979년에 출판된 『해방후 조선음악』은 여전히 현대 음악사 서술의 시작을 8.15 해방 이후로 상정하고 있으며, 음악사 곳곳에 주체사상(主體思想)과 1인 독재체제의 정당성을 설명하는 장이 마련되어 있었다.
    1979년부터 출판되기 시작한 『조선전사』에서는 이전과 달리 전근대와 근대의 분기점을 서구제국주의침략이 시작된 1860년대로, 그리고 근대와 현대의 분기점은 김일성(金日成)이 세운 ‘타도제국주의동맹’(打倒帝國主義同盟)으로 상정하였다. 그러나 근대시기의 음악 설명은 부족하였고, 김일성의 활동이 부각되면서 일제강점기 프롤레타리아 음악활동에 대한 서술은 축소되었다.
    1990년에 출판된 『조선음악사』와 재판본 정도에 해당하는 2010년의 『조선음악사』는 『조선전사』에 충분하게 소개된 근대음악사 부분을 확대시키고 보완하는 양상을 띠었다. 이 두 책 모두 김일성 가계의 위대성과 혈통을 강조하면서 음악과 결부시켜 설명하였으며, 위대한 지도자 밑에서 위대한 음악이 생산되었다는 관점을 유지하였음을 볼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focuses on the changes in the description of North Korean music history, especially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by examining the writings of the music history published in North Korea from the 1950s to the 2000s.
    In the Haebanghu chosŏn ŭmak 『해방후 조선음악』 (North Korean Music after the Liberation, 1956), I recognized the post-8.15 period of 1945 as the point of view of the contemporary music history of North Korea, and paid attention to the socialist music produced by the people. The book, Chosŏn ŭmaksa 『조선음악사』(History of North Korean Musi) published in 1966, specifies the origin of pre-modern and modern music history. In other words, it is noticeable that it is assumed to be around the time of Kabo nongmin chŏnjaeng 甲午農民戰爭 (the Peasant's War in the Kabo 甲午 Year, 1894) in the late 19th century. Also, they were looking for the origins of modern North Korean music in the KAPF music activities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book Haebanghu chosŏn ŭmak, which was published in 1979, still presupposes the beginning of modern music history since the Liberation of 8.15, and a chapter explaining the justification of the Chuch'eism 主體思想 and the dictatorship system in all parts of the history of music was prepared.
    The book Chosŏn chŏnsa 『조선전사』 (History of North Korea), which began to be published in 1979, assumed the premodern and modern point of departure in the 1860s, when the Western imperialist invasion began, and the modern and contemporary juncture, as Kim Il Sung's 金日成T'ado cheguk chuŭi tongmaeng 打倒帝國主義同盟 ("Overthrow Imperialist Alliance"). However, the description of music in the modern period was insufficient, and the description of the proletarian music activity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diminished. The Chosŏn ŭmaksa published in 1990 and the Chosŏn ŭmaksa of 2010 expanded and complemented the part of modern music history that was insufficiently introduced to Chosŏn chŏnsa. Both of these books emphasized Kim Il Sung's grandeur and pedigree and associated with music and explained that great music was produced under the great lead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