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문토기시대 경기 서북부지역의 물질문화 검토-신흥동유형과 역삼동유형의 관계성에 주목하며- (A Stduy of the Material Culture in North­West Gyeonggi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inheungdong and Yeoksamdong Assemblage­)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23.02
44P 미리보기
무문토기시대 경기 서북부지역의 물질문화 검토-신흥동유형과 역삼동유형의 관계성에 주목하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천학연구 / 1권 / 38호 / 37 ~ 80페이지
    · 저자명 : 구혜영

    초록

    무문토기시대 경기 서북부지역은 신흥동유형과 역삼동유형의 점이지대에 해당된다. 경기 서해안일원은 신흥동유형의 주 이동경로로 지목되며, 한반도 북부 지역의 영향을 받은 공간으로 볼 수 있다.
    기존 각형토기라는 명칭에 대해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남한 내 무문토기시대 유형과 통일감 있게 신흥동유형이라는 명칭을 제시한다. 대동강~재령강~한강 하류유역을 중심으로 신흥동유형의 유적을 검토하며, 여기서 출토된 이중구연+좌상­우하ㆍ사선을 중심으로 유형 개념을 설정한다.
    역삼동유형은 경기 서북부지역인 인천 강화, 경기 김포, 인천 검단의 12개소 유적을 검토 대상으로 한다. 공렬, 구순각목, 구순각목+공렬이 출토된 주거지를 중심으로 유형 개념을 설정한다.
    지석묘, 강화 삼거리 주거지 등 신흥동유형의 특징적인 출토 양상이 확인된 강화도는 남한 내 신흥동유형의 대표 공간으로 지목되어왔다. 그러나 최근 조사에서 공렬, 구순각목+공렬 등 역삼동유형이 출토되면서 신흥동유형과 역삼동유형의 점이 지대로 볼 수 있다. 섬이라는 한정된 공간 내에서 두 유형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공간으로 주목된다. 신흥동유형으로 대표되는 강화 장정리 유적과 역삼동유형으로 대표되는 강화 신봉리 유적은 공간적으로 인접하며, 두 유적의 시기적 격차가 크지 않음에도 상호 영향을 받은 물질양상은 나타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신흥동유형이 독자성과 폐쇄성이 강한 점을 고려할 때, 신흥동유형의 직접 영향권인 강화 내에서 신흥동유형은 역삼동유형의 유입에도 독자성을 유지한 것으로 추측된다.
    김포 양촌유적은 127기의 주거지를 중심으로 구순각목, 구순각목+공렬 등 역삼동유형이 확인된다. 그 중 일부 주거지에서 구순각목+공렬토기와 함께 이중구연+(1조)좌상­우하ㆍ사선, 이중구연+단속ㆍ사선, 이중구연+연속ㆍ사선의 특징적 신흥동식토기가 공반된다. 이러한 출토 양상은 역삼동유형이 신흥동유형의 물질문화를 수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두 유적의 사례를 통해, 각 거점유적을 중심으로 정치ㆍ경제적인 측면에서 문물을 수용하는 방식에 각각의 차이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논의에 가설적인 측면이 있는 것은 인정하나, 물질문화의 사회적 의미에 대해 고민은 필요하다.

    영어초록

    The north­western region of Gyeonggi during the Mumun Pottery Period corresponds to the transition zone between the Sinheungdong assemblage and the Yeoksamdong assemblage. The west coast of Gyeonggi Province is pointed out as the main migration route of the Sinheungdong assemblage, and it can be seen as a space influenced by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paper presents the name Shinheungdong assemblage in unity with the type of Mumun pottery in South Korea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on the existing name of top­shaped pottery.
    The Sinheungdong assemblage identified mainly in the Daedong River~Jeryeong River~Han river basin and the Yeoksamdong assemblage in the Han River downstream basin are reviewed.
    In Ganghwa Island, characteristic excavation patterns of the Shinheung­dong assemblage, such as dolmens and Ganghwa Samgeori residential areas, were confirmed. In addition, as the reverse Yeoksamdong assemblage was confirmed in a recent survey, it is a major space that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ssemblage within a certain space.
    At the Yangchon site in Gimpo, Sinheungdong pottery was excavated from some residential areas, centering on the Yeoksamdong assemblage. Yangchon can be seen as having accepted the Sinheungdong assemblage.
    The north­western region of Gyeonggido, which is a point zone, is a space where you can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ssemblage, and within Ganghwa Island, which is directly influenced by Shinheung­dong assemblage, it is thought that Shinheung­dong assemblage adhered to the closedness like the Daedong River basin. Unlike this, the Yeoksam­dong assemblagecan be seen as accepting the Sinheung­dong pottery, an advanced material culture of the Nor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