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일본의 서양학문 수용과 ‘학역(學域)’의 형성-자연과학과 인문・사회과학의 분리를 중심으로 (Acceptance of Western Studies and Establishment of Academic Disciplines in Modern Japan - On the Separation of Natural Sciences and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21.03
26P 미리보기
근대 일본의 서양학문 수용과 ‘학역(學域)’의 형성-자연과학과 인문・사회과학의 분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99호 / 191 ~ 216페이지
    · 저자명 : 김성근

    초록

    본 연구는 19세기 무렵 세계적인 추세로 진행 중이던 학문의 분과화가 메이지(1868 -1912) 일본의 근대학문에 어떻게 파급되었으며, 그러한 일본 근대학문의 형성 과정에 나타난 특징은 무엇이었는가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메이지 유신(1868) 이후, 일본은 유학, 일본학 등 종래의 전통학문을 대신하여 서양의 학문을 수입함으로써 근대학문을 신속하게 제도화할 수 있었다. 그런데, 일본이 당시 수입한 학문은 서양에서 막 전문 분화를 시작한 직후의 학문이었다. 메이지 전후의 일본인들이 ‘과학’을 ‘분과학문’의 뜻으로 이해했음은 그러한 사정을 잘 보여준다. 아울러 그 같은 분과학문의 수용이라는 역사적 경위는 그 후 일본 근대학문의 성격에 큰 영향을 미쳤다. 서양의 경우, 과학혁명 이후, 학문들 간의 세분화는 자연과학이 인문・사회과학에 영향을 미치며 진행된 반면, 메이지 일본이 수용한 서양학문은 종합학문이 아니라 개별과학들이었고, 그것은 학문들 간의 연계성을 사실상 잃어버린 것이었다. 예를 들어, 서양에서 사회과학은 자연과학의 바탕 위에서 성장했다면, 일본에서 그것은 사실상 자연과학과 거의 무관하게 수입되었다. 이 같은 서양학문 수용의 문제점은 결국 고등교육의 제도화를 통해 해결되어야만 했다. 그러나, 이토 히로부미, 모리 아리노리 등 메이지 정부의 핵심 관료들은 도쿄대학, 제국대학 등 관립 대학들을 철저하게 ‘국가적 수요’를 위한 기관으로 인식했다. 따라서 도쿄대학, 제국대학은 국가적 긴급함, 즉 산업화에 도움이 되는 과학기술과 공학 분야, 그리고 근대국가의 새로운 관료 양성을 위한 법학 등을 중시했지만, 그 밖의 인문・사회과학은 20세기 중반에 이르기까지도 사실상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이 같은 일본의 서양학문 수용은 제 학문 영역의 카테고리화에서도 중요한 특징을 보여주었다. 일본에서 자연과학, 사회과학, 인문과학의 카테고리, 아울러 문과와 이과의 구분은 19세기말부터 20세기 전반에 이르기까지 수입된 서양학문을 재편성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studies how the division of scholarship, which was underway as a global trend around the 19th century, had an effect on the formation of modern scholarship in Meiji Japan, and what characteristics appeared as a result of the formation of such a modern Japanese intellectual system. The formation of modern studies in Meiji Japan was achieved by accepting Western modern studies as entirely replacing traditional studie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studies Japan accepted in the West at that time had been already divided into specialized areas. It tells why Meiji Japanese scholars understood the word ‘science’ as the meaning of ‘disciplinary science’. In addition, the formation of modern Japanese scholarship, which was completely dependent on the acceptance of Western sub-disciplinary sciences, shows a unique featu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West. In the case of the West, the subdivision between disciplines after the scientific revolution proceeded relatively naturally as the natural sciences influenced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hereas in Japan, which was completely dependent on the acceptance of Western disciplines, the chain between disciplines had almost disappeared. Such unplanned acceptance of Western studies had to be resolved through institu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However, key officials of the Meiji government, such as Hirobumi Ito and Arinori Mori, recognized government universities such as Tokyo University and Imperial University as institutions for ‘national demand’. Therefore, the University of Tokyo and Imperial University placed great importance on the national urgency, which was, the fields of science and engineering necessary for industrialization, and the law required to cultivate new bureaucrats in the modern state. On the other hand, other fields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ere not considered very attractive until the mid-20th century.
    The acceptance of Western studies in Japan also displayed an important feature in the categorization of academic fields. In Japan, the categories of natural science, social science, and humanities seem to have been formed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by accepting Western studies in each fie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