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상주 사벌지역의 공간구조 변화 (Changes in the Spatial Structure of Sangju Sabeol Are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22.12
40P 미리보기
상주 사벌지역의 공간구조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사연구 / 22호 / 139 ~ 178페이지
    · 저자명 : 박달석

    초록

    본고는 상주 사벌지역에 위치한 이부곡토성과 병풍산성 그리고 그주변 고고유적의 기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지역 정치체의 형성과 변천에 따른 공간구조의 변화를 논의한 글이다. 이부곡토성이 위치한사벌지역은 자연지형, 농업생산력, 교통로 등의 배경으로 고대로부터 이 일대의 중심지로 이용되었고, 엄암리토광묘를 조성한 집단을중심으로 지역 정치체가 형성되었을 것이다. 그 중심지는 ‘성(城)’의존재 유무를 떠나 이부곡토성이 위치한 곳이며, 그 주변에 분묘공간, 주거공간으로 구분되는 공간구조를 구성하였다.
    이후 5세기 무렵 신라가 상주 사벌지역을 재편하는 과정에서 기존재지세력의 중심부에 군사와 행정을 총괄하는 이부곡토성을 축성함으로써 지배자 집단의 통치공간·지배거점으로 활용하였고, 새로운 분묘공간을 조성하였다. 이러한 치소성(治所城)의 축조는 신라가영역국가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지역에 진출하면서 군사거점을 구축, 다시 새로운 지역으로의 진출을 위한 발판으로 삼았으며, 사방의 교통로를 따라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일정한 영역을이루게 되었다. 그리고 5세기 후반 접경지를 중심으로 강력한 적과대치하기 위해 방어력이 향상된 군사 거점이 요구되었고, 이는 석축산성의 축조로 이어졌다. 또한 이미 확보한 안정화된 영역에서도군사적 방어 및 행정적 운영 체계의 재편 등에 따른 축성이 진행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으며, 이는 병풍산성의 축성 배경으로 판단하였다.
    종합하면, 사벌지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접근성이 양호한 이부곡토성은 행정적 기능이, 그 배후에 해당하는 상주분지 동쪽 경계에서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병풍산성은 군사적 기능이 좀 더 우세한 성(城)으로, 양자가 보완 관계를 이루며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사벌지역의 운영·관리의 중심으로 역할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사벌지역은 687년(신문왕 7) 무렵, 기존 주치(州治)였던 산성(이부곡토성·병풍산성)이 아닌 평지(분지형 입지조건을 갖춘 현 상주시 중심부)에 이방구획(里坊區劃)된 핵심구역과 주변부, 그 배후에 자산산성이 어우러진 공간구조로 변화하였다. 즉, 지역의 공간구조는 정치체의 형성과 변천에 따라 어느 시점부터 파괴되고, 각 시대의 공간구성방식이 구현되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discusses changes in spatial structur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the historical sites of Ebugok earthen fortification, Byeongpung fortress, and nearby ruins in Sabeol district. Sabeol district was a political center, considering the natural topography,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traffic benefits. A group who built Eomamri tumuli might took control of Sabeol district. The center of Sabeol district was the place near from Ebugok earthen fortification with or without exist of fortification. And The spatial structure was made up apart from a grave space and a residential space.
    After the 5th century, the ruling group built Ebugok earthen fortification for their governing base and built a new grave space.
    Silla built fortifications in other regions to get a foothold in ruling there. and building fortifications led to building fortress in frontier. Not only that, but building fortifications went on in place where was stabilized in ruling. That might be reason why Byeongpung fortress was built. To sum up, Ebugok earthen fortification where has a benefit of traffic took administrative functions and Byeongpung fortress took military functions.
    Meanwhile, the political capital of Sabeol district moved to flatland(the present downtown of Sangju). The moved center had the spatial system of ‘ri-bang section’(里坊區劃) in main area and built Jasan fortress at the rear.
    In other words, Spatial structure system in region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formation and transition of the political establish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