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周易』 해석방법론에 관한 연구 ― 王夫之의 學易 · 占易 合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nalysis methodology of I-Ching)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08.06
29P 미리보기
『周易』 해석방법론에 관한 연구 ― 王夫之의 學易 · 占易 合一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古典硏究 / 16권 / 1호 / 357 ~ 385페이지
    · 저자명 : 진성수

    초록

    『주역』을 해석하는 방법은 크게 象數와 義理로 나눌 수 있다. 왕부지는 漢代 以來의 易學이 象數에 치우쳤다고 비판했다. 이러한 폐단을 극복하기 위해 王弼이 義理를 주장했으나, 이것은 오히려 老莊의 虛無說로 변질되어 결과적으로 『주역』을 왜곡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평가했다. 또한 程頤의 『易傳』은 王弼의 義理易을 더욱 심화 · 발전시켰으나, 역시 象數的인 측면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義理에만 치우치는 폐단을 낳았다고 평가했다. 이후 程頤를 계승한 朱熹는 義理를 모두 배척하고 象數를 위주로 하여 易을 해석함으로써 『주역』을 占書로만 이해하는 데에 머물게 되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왕부지는『周易』이 ‘하늘과 사람의 이치[天人之理]’와 ‘인간 본질의 원리[性命之蘊]’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고, 占과 學은 一理이며, 得失吉凶이 一道라는 것을 강조한다. 따라서 利益이 아닌 義로운 것을 占칠 것과 小人이 아닌 君子를 勸戒할 것을 강조한다. 이것은 利害得失을 목적으로 『주역』을 해석하여 占書로서의 『주역』에 치중하는 것에 대해 경계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왕부지는 象數를 전혀 고려하지 않는 王弼의 義理易 혹은 卜筮를 중심으로 하는 朱熹의 象數易을 비판하며 學易과 占易의 合一이라고 하는 주역해석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그는 『주역』의 탄생동기가 象數를 통한 卜筮였으며, 아울러 象數에 대한 三聖[文王 · 周公 · 孔子]의 해석은 天人의 이치를 담고 있는 것이므로 『주역』 해석에 있어서 象數와 義理는 그 어느 하나도 빼놓을 수 없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영어초록

    Wang Fu-zhi meant to rehabilitate the learning of Chinese Classics[經學] having its roots in ideology and value of orthodoxy Confucian school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from Ming to Qing and his thought was formed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from li-centered to qi-centered value system. Wang Fu-zhi criticized the moral cultivation theory of xing li learning and Yang-ming learning and asserted that ‘acting’ should be focused on the moral cultivation and learning.
    Wang Fu-zhi maintained that unite zhan yi(占易)[xiang shu(象數)] and xueyi(學易)[yi li(義理)] should united and he applied the principle of yi to diverse fields such as history, the realities of life etc.
    Wang Fu-zhi realized that one should analyze Zhu Xi with zhan yi and xue yi[不可偏廢], not losing balance between them. It is a noble man's duty to realize that the two of them are united and to actualize them. Besides, he maintained that even though the open(representing yin) · the solid(representing yang) and ji xiong(吉凶) represent one spatial condition, it is also a dynamic space newly re-constructed by the action of a noble man. Therefore, Wang Fu-zhi argued that the true I-Ching is not to accept the sixty-four images and statements passively, but a noble man, subject of yi, to blaze a trail according to the time and 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is, de shi ji xiong(得失吉凶) are obtained not through bu shi(卜筮), but only through the inside of self. Human beings' yi li and the principle of history and reality are completed by uniting human beings' zhan(占) and xue(學).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5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