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흥천사 극락보전의 재건역(再建役)과 장엄(莊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nstruction and Jangeom of Heungcheon-sa Geungnakbojeon-hall)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21.12
33P 미리보기
흥천사 극락보전의 재건역(再建役)과 장엄(莊嚴)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57호 / 31 ~ 63페이지
    · 저자명 : 이강근

    초록

    흥천사에는 대웅전 중창 이전 두 시기에 걸쳐 각기 다른 법당이 세워져 있었다는 사실이 2016년 극락보전을 수리할 때 나온 3건의 지본 상량문으로 확인되었다. 현 흥천사(興天寺) 극락보전(極樂寶殿)은 1853년(철종 4) 3월에 완공되었는데, 1854년 4월에 단청을 하고 나서 적은 상량문에는 ‘신흥사대웅전(新興寺大雄殿)’이라고 적혀 있다. 또 1885년(고종 22)에 건물 내부를 중수할 때에는 ‘흥천사 극락보전’으로 기록하였다. 신흥사가 흥천사로 바뀐 때는 1865년(고종 2), ‘대웅전’이 ‘극락보전’으로 바뀐 때는 아미타불회도를 봉안한 1867년인 듯하다. 그런데 사명(寺名)과 전호(殿號)는 그 뒤에도 지속적으로 혼용되었다.
    현재 극락보전 내부에는 1867년에 조성된 불단에 삼존상, 후불벽에 아미타불회도, 좌우 측벽과 불단 우측 뒷벽에 여러 불화들이 가득 봉안되어 있다. 이들 가운데 우협시보살상은 사중에 전래되어 온 것이나, 본존상과 좌협시보살상은 다른 사찰에서 옮겨온 것이다. 후불벽에 봉안된 아미타불회도와 좌우 측벽과 불단 향우측벽에 봉안된 여러 불화들은 대방을 중창한 지 2년 뒤인 1867년(고종 4)에 조성하여 봉안한 것이다. 천개는 1900년에 단청을 중수할 때 새로 만들어 올린 것이다.
    현재 극락보전의 내외 장엄, 구조와 장식, 형식과 양식에 커다란 변화가 일어날만한 계기는 없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흥천사 극락보전은 19세기 중엽을 대표하는 불전 건물로 보아도 무리는 없을 것이다. 19세기 후반에 50년 가까이 진행된 불사를 거치면서 크게 중흥된 흥천사에는 지금도 놀라울 만큼 많은 기록물들이 문서와 현판의 형태로 남아있다. 그러나 아직 완벽하게 조사가 이루어지지 못한 부분이 남아 있다.

    영어초록

    The fact that different Buddhist Main Halls were built in Heungcheonsa Monastery over two periods before the reconstruction of Daeungjeon Hall was confirmed by three Sangryangmun made of paper that came out when Geungnakbojeon Hall was repaired in 2016. The current Heungcheonsa Geungnakbojeon Hall was completed in March 1853 (King the 4th year of Cheoljong's reign), and the Sangryangmun, which was written after painting dancheong in April 1854, reads "Shinheungsa Daeungjeon." In addition, when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was remodeled in 1885 (the 22nd year of King Gojong's reign), it was recorded as Heungcheonsa Geungnakbojeon. Sinheungsa was changed to Heungcheonsa in 1865, and Daeungjeon was changed to Geungnakbojeon in 1867, when the Amitābha Buddhist Painting was enshrined. However, even after the name of the temple and the name of main Buddhist Hall were changed, they were continuously used interchangeably.
    Currently, the inside of Geungnakbojeon Hall is almost filled with Main Buddha statue of the altar, Amitābha Buddhist Painting on the back wall and various Buddhist paintings on the left and right sidewalls. Among them, the statue of Right Attendant Bodhisattva was handed down to this monastery, but the statue of Main Buddha Statue and the statue of Left Attendant Bodhisattva were moved from other temples. The Amitābha Buddhist Painting enshrined on the back wall and various Buddhist paintings enshrined on the left and right sidewalls and on the right sidewalls of the altar were painted and enshrined in 1867 (the 4th year of King Gojong's reign), two years after the construction of Daebang. The Canopy was newly built when Dancheong was repainted in 1900.
    Currently, it is judged that there was no opportunity for major changes to the internal and external structure and decoration, form and style. Therefore, the Geungnakbojeon Hall of Heungcheonsa Monastery is a representative Buddhist monasyery building in the mid-19th century. Heungcheonsa Monastery, which was greatly revived after nearly 50 years of Buddhist reconstruction in the late 19th century, still has surprisingly many records in the form of documents and signboards. However, there are still record data that have not been fully investiga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