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근대 시대적 맥락에서 본 정역(正易)의 시간관 (A Time Perspective of Jeongyeok (正易) in the Context of Korea's Modern Era)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24.02
32P 미리보기
한국 근대 시대적 맥락에서 본 정역(正易)의 시간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유학연구 / 66권 / 137 ~ 168페이지
    · 저자명 : 안승우

    초록

    본 논문은 1800년대 후반에 일부(一夫) 김항(金恒, 1826~1898)에 의해 완성된것으로 알려진 정역(正易)이 한국 근대 시대적 맥락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를 정역의 시간관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1950년대 초중반에 제기된 세계력(世界曆)에 관한 논의 속에서 언급되었던 정역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 시기까지도 전 세계적으로통용되는 표준 달력에 관한 논의가 있었으며, 그 과정에서 정역이 언급되기도 했다. 이를 단서로 하여 구한 말 일제강점기에 전통적인 시간관과 서구에서 유입된근대적 시간관이 혼재하면서 겪게 되는 조선인들의 시간 개념에 대한 혼란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한국 근대 시기에 정역은 전통적인 역학(易學)적 사유에 기반하면서도새로운 시간에 대한 관점을 제시해 준 것으로 보인다. 특히 복희팔괘, 문왕팔괘 이후의 정역팔괘도(正易八卦圖)를 제시하여 과거→현재→미래로의 시간적 변화를완성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시간 변화는 근대적 시간관처럼 앞으로 전진하기만하고 인간의 의지와는 상관없는 시간관이 아니라, 공간과 인간이 연계된 시간관에 기초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정역의 시간관을 본 논문에서는 반전되고 반추하는 시간관, 공간적·도덕적 시간관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러한 정역의 미래의 비전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인간의 역할을 담고 있는 시간관은 일제강점기 불평등 타파를 향한 민중적 움직임의 토대가 되기도 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meaning of Jeongyeok (正易), especially focusing on a time perspective, in the context of the modern era of Korea, which is known to have been completed by Ilbu (一夫) Kim Hang (金恒, 1826-1898) in the late 1800s.
    For this, this paper explores the meaning of the Jeongyeok mentioned in the discussion on the world calendar (世界曆) raised in the early and mid-1950s. Even until this period, there was a discussion on the standard calendar that can use worldwide, and in the process, the Jeongyeok was mentioned. Using this as a clue, this paper examines the confusion over the concept of time of Koreans experienced by the mixture of traditional view of time and modern view of time introduced from the West in Japanese colonial era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In this modern Korean period, the the Jeongyeok seems to have presented a perspective on new time based on traditional yixue (易學) thinking. In particular, the time change to the past → present → future is completed by presenting the Jeongyeok’s Eight Trigrams (正易八卦圖) after Fuxi’s Eight Trigrams (伏羲八卦圖) and Wenwang’s Eight Trigrams (文王八卦圖). However, this time change is based on a time view in which space and humans are linked, not a time view that only moves forward like the modern time view and is irrelevant to human will. In this paper, this Jeongyeok’s time perspective was examined in terms of a time view that is reversed and reflected, and a spatial and moral time view.
    This vision of the Jeongyeok’s future and the view of time containing human roles in realizing it served as the basis for a popular movement toward the resolution of equality in Japanese Japanese colonial e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