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유(自由)의 상실, 그 고통에 대하여: 李銳의 소설『人間』 읽기 (A Study of the suffering caused by the loss of freedom : An Analysis on the novel Renjian(人間))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2.12
21P 미리보기
자유(自由)의 상실, 그 고통에 대하여: 李銳의 소설『人間』 읽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연구 / 35호 / 559 ~ 579페이지
    · 저자명 : 유강하

    초록

    이 논문은 인간다운 삶을 이루는 데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자유(自由), 표현의 자유에 대한 연구이다. 사회적 존재인 인간이 가진 표현의 욕구는 인간의 기본적 욕망만큼이나 큰 욕망이자 권리이다. 표현의 자유에 대한 제한이나 억압은 개인의 의지와 무관하게 ‘주어진’ 것이라는 점에서 피할 수 없는 무자비한 고통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억압, 상실된 자유에 대한 요구, 목소리 내기는 행복에 대한 추구이자 치유(사회적/개인적)의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표현의 자유가 제한되고 억압된 현실에서, 자유에 대한 요구 자체는 불이익이나 위험을 감수해야 하는 일이 되기 쉽다. 그러할 때 표현의 욕구, 갈망은 모습을 바꾸고 위장하며 욕구를 표출할 출로를 찾는다. 찾음, 위장, 갈구 등으로 표현되는 문학적 언어와 몸짓들은 고통을 벗어나 치유를 갈망하는 간절함의 한 표현이다.
    자유의 상실이라는 (사회적/개인적) 고통 속에 놓인 많은 ‘개인’들의 이야기, 그 중에서도 표현의 자유를 요구하다가 囹圄의 몸이 된 劉曉波의 목소리와 李銳의 환상서사인『人間』은 이러한 맥락에서 겹쳐지고 포개진다. 두 지식인의 이야기는 현실/환상, 직설/은유를 씨실과 날실로 삼아 하나의 텍스춰(texture)를 이루어낸다.
    13억의 인구, 56개의 민족이 섞여있는 중국의 현실에서 자유롭게 피어나는 꽃들은 ‘순결한 화원’을 가꾸는 데 방해가 되는 독초로 간주되어 꽃피울 수 있는 기회조차 박탈당한 채 추방된다. 표현의 자유가 제한되고 억압된 현실에서 작가는 고통스러운 현실을 그대로 전달하지 않고, 환상이라는 베일을 씌워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환상서사는 가장 소극적이지만 역설적으로 가장 역동적인 대응방식이 될 수 있다. 이 글은 표현의 자유를 빼앗긴 현실 속에서 각자의 언어를 찾아 은밀히 표현함으로써, ‘나’와 ‘너’, ‘우리’의 ‘말하지 못하는 고통’, 그 鬱症을 덜어내려는 노력, 치유를 갈망하는 목소리를 듣기 위한 노력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the freedom, and to investigate discrimination and persecution against the different species(異類) in this world, reveled in a novel, Renjian(人間). This novel is one of the "(Myth) Re-telling" series, which is re-written by Chinese writers LiRui(李銳) and ZhangYun(蔣韻). These writers re-write the Chinese myth, the Legend of the White Snake(白蛇傳). The legend is changed into a new fantasy novel, Renjian(人間). In this story, QiuBai(秋白) was a white snake in a previous life. The background of the novel is the era of "letting a hundred of flowers blossom and a hundred schools of thought contend(百花齊放, 百家爭鳴)" in 1956. But those who think differently are not considered flowers, but a poisonous herb, so QiuBai(秋白) who complains about her work and communist government is considered as different species, discriminated, expelled out of the world, by the name of justice. There is no freedom to think differently, to express freely, so Quibai is expelled out of the world. This novel can be said criticism of the "letting a hundred of flowers blossom and a hundred schools of thought contend(百花齊放, 百家爭鳴)" in 1956, and at the same time, criticism of the present Chin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