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상호놀이로서의 돌봄: 성과사회에서의 목회돌봄을 위하여 (The Care of Mutual Play: Toward a Way of Pastoral Care in Achievement Oriented Society)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7.10
32P 미리보기
상호놀이로서의 돌봄: 성과사회에서의 목회돌봄을 위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106호 / 405 ~ 436페이지
    · 저자명 : 정아름, 정연득

    초록

    이 논문은 신자유주의 성과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호소하는 어려움에 응답하는 목회돌봄의 방향을 모색하는 시도이다. 필자들은 돌보는 사람이나 돌봄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 모두 무한경쟁의 압박에 놓여 있음을 직시하면서 ‘상호놀이’로서의 돌봄이 우리 시대에 필요한 돌봄이라고 제시한다. ‘상호놀이’로서의 돌봄은 돌보는 사람이 돌봄을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돌봄이 아니라, 놀이할 수 있는 환경 속에서 돌보는 사람이나 돌봄을 받는 사람이 함께 놀이에 참여할 수 있는 놀이공간을 만들어 가는 것을 의미한다.
    이 주장을 발전시키기 위해 크리스토퍼 볼라스의 ‘정상증후군’ 개념을통하여 돌봄의 실천 현장에 드리워진 성과사회의 그림자를 분석한다. 정상증후군이라는 개념을 통해 성과사회에서 사람들이 요구하는 돌봄의 본질이 무엇인지 접근하고자 한다. 볼라스에 의하면 정상증후군이란 주체가 자신의 고유한 이디엄을 발현하는 것을 포기한 상태를 말하며, 그 결과 주관적 세계가 텅 비어버리게 되고, 스스로가 주체가 되기를 포기해버리고 자신을 타인이나 환경에 의해서 사용되는 하나의 대상처럼 여기는 상태이다. 성과사회에는 개인들이 자신의 이디엄의 발현과 주관적 세계에 집중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다. 오히려 외적이고 객관적인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데 집중하도록 압박한다. 이처럼 성과사회의 보이지 않는 권력에 의해 자기착취에 매인 주체는 자유롭고 진정한 놀이를 즐기지 못한다. 멋지지 않은 이야기들과 실패로 점철되었던 실험의 과정은 매끄럽고 아름다운 결과물 뒤에 숨겨져야 한다. 성과사회의 돌봄조차 주체의 필요보다 아름다운 성과를 만들어 내기 위한 돌봄이 되고 있는 것이 오늘날 돌봄의 현실이다. 돌봄의 과정이 사라졌다. 성과라는 결과만이 보여야 할 뿐이다. 그리하여 필자들은 성과사회에서의 주체가 자유롭고 생생한 삶을 회복하기 위해 필요한 돌봄은 상호놀이로서의 돌봄이라고 주장하며, 돌봄의 결과보다는 과정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 주장을 발전시키기 위해 볼라스와 도널드 위니캇과 대화를 이어간다. 돌보는 사람 또한 성과사회의 주체이다. 돌본다는 것은 돌봄이 필요한 사람의 동반자가 되는 것이다. 돌봄의 관계가 동반자의 관계로 변화될 때에만 상호놀이가 가능하게 된다. 상호놀이는 돌봄의 과정에 머물도록 하는데, 이 돌봄의 과정에는 창조와 파괴, 사랑과 공격성의 역동에 대한 인정과 수용의 과정이 포함된다. 이러한 수용과 인정의 과정 속에서 자신의 고유한 이디엄이 발현되고, 나아가 자기가 회복되고 확장된다. 이는 돌봄의 동반자 모두에게 충분히 좋은 관계 경험이 될 것이다. 필자들은 상호놀이로서의 돌봄은 상담실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가족, 공동체, 문화의영역으로 확장되어 나간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어머니 유아 사이의 놀이가 문화로 확장되어 나간다고 보았던 위니캇의 주장과 맥락을 같이한다. 그러므로 우리시대의 목회돌봄은 상호놀이가 되어야 한다. 상담실에서 시작된 상호놀이로서의 돌봄은 성과사회의 어두운 곳을 밝히고 회복시켜 나가는 새로운 문화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ttempts to suggest a way of pastoral care in response to the sufferings of people burdened by the pressure of unlimited competition in the context of achievement oriented neoliberal society, In the course of arguments, we suggest the care of “mutual play” as a needed way of care in current society. By the conception of “mutual play,” we insist that the provision of care should not be the one–way activity that caretakers endeavor to provide good cares while care– eceivers simply receive them. Rather, it should be the process of creating a space for mutual play in which both caretaker and carereceiver can play together.
    To prove this, we delve into the experience of Korean contemporaries living in achievement–oriented society by drawing on Christopher Bollas’ concept of normotic illness. By normotic illness, we can reach the essential meaning of care that suffering people want to receive. We also analyze the effect of achievement oriented society shadowed in the practice of care. For Bollas, normotic illness is a condition that a subject’s endeavors to elaborate his or her idiom are stoped and his or her inner psychic world become empty. In achievement– oriented society, one cannot focus on his or her idiom, but one should follow the objective world’s pressure for achievement. For this reason, we argue that the needed care for achievement oriented society is the care of mutual play in which both caretakers and care–receivers can freely partake in the play and enjoy the process of care, not the result of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기독교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