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에서 대소변 가림 여부에 따른 감각처리기능 비교 (Comparison of Social Quotient and Sensory Processing according to the Toileting Ability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20.09
10P 미리보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에서 대소변 가림 여부에 따른 감각처리기능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통합의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통합의학회지 / 8권 / 3호 / 133 ~ 142페이지
    · 저자명 : 이철상, 김태훈

    초록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에서 대소변을 가리는 집단과 가리지 못하는 집단의 감각처리기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아동의 부모 면담을 통하여 대소변 가림여부를 조사 후 사회성숙도 검사와 감각프로파일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성숙도 검사의 사회지수는 시각처리를 제외한 모든 감각처리 영역의 점수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소변 가림군과 못가림군은 모든 감각처리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감각요소 중 감각추구, 감정반응, 구강감각-민감성, 부주의/산만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낮은 지구력/근긴장도, 감각등록의 저하, 감각 민감성, 앉아있으려는 성향, 미세동작/지각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감각조절 영역과 행동 및 정서반응 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가림군과 못가림군은 감각처리 영역과 일부 감각요소에서 차이가 있으므로 대소변 훈련 시 감각처리 및 감각요소를 향상하기 위한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social quotient and sensory processing function between completed-toileting and incomplete-toileti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We aims to provide a basis for the training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children with ASD, aged from 4 to 7, receiving sensory integration therapy at the H-Child Development Research Center in Busan, South Korea. After recruiting 30 parents who had children with ASD, we interviewed them and we divided their children into completed-toileting group and incomplete-toileting group based on the past researches. We assessed them using the Social Maturity Scale and Sensory Profile. Spearman correlation was used to analyze between the sensory processing score and social quotient. Mann-Whitney U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Sensory Profile scores of the two groups.
    Results : The social quotient was correlated with the sensory processing score in the most of component as for auditory processing, vestibular processing, touch processing, multisensory processing, orosensory processing, except for visual processing. The groups of completed-toileting and incomplete-toileting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 in sensory seeking, emotional reactive, oral-sensory sensitivity, and inattention/distractibility in the sensory factor region.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intergroup was observed in any modulation areas, nor in behavioral & emotional response domains.
    Conclusion : A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most of sensory processing areas, except for modulation areas and behavioral & emotional response domains. The result revealed that toileting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nsory processing.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ensory processing function should be considered in the toilet training of children with AS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통합의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3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