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몽테뉴의 「습관에 관하여」에 나타난 관찰과 성찰의 방법론 (La Méthode D’observation et de Réflexion dans “De la coutume” des Essais de Montaign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19.02
32P 미리보기
몽테뉴의 「습관에 관하여」에 나타난 관찰과 성찰의 방법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코기토 / 87권 / 201 ~ 232페이지
    · 저자명 : 이선희

    초록

    본고는 몽테뉴의 『에세』 제1권 제23장 「습관에 관하여 그리고 한번 정해진 법을 쉽게 바꾸지 않는 것에 관하여」에 나타나는 습관과 관습의 주제를 중심으로 하여, 몽테뉴가 이를 어떻게 관찰하고 성찰하며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타인과 사회에 이것을 어떻게 적용하는지 살피는 논문이다. 습관과 관습은 『에세』의 다른 장들에서도 다루어지는 소재로, 대부분 산발적이고 단편적으로 언급되는 반면 제1권 제23장에서 저자는 우선 상당수의 예시들을 연속하여 제공하고 이에 대해 전반적으로 성찰하는 방법을 취한다.
    이 장에서 몽테뉴가 제시하는 습관과 관습에 대한 다양한 사례들은 몽테뉴의 경험과 독서의 결과물이다. 특히 고대 그리스 역사가 헤로도토스나 당대 스페인 역사가 로페즈 드 고마라의 독서에서 차용한 사례들이 이 장에 집중되어 있다. 몽테뉴는 경험과 독서를 통해 무수한 인간의 행동방식을 관찰하고, 이를 외부세계와 인간을 이해하고 나아가 자기 자신을 이해하기 위한 방법으로 삼는다.
    다양성과 차이를 대변하는 관습의 사례들은 몽테뉴에게 성찰의 소재가 된다. 몽테뉴가 사례들을 분류하고 분석한 방식을 보면, 타자들이 어떻게 사회를 구성하고 운영하는지 그 서로 다른 방식이 주요 관심사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는 또 습관이나 관습이 인간의 육체와 정신에 미치는 힘에 대해 숙고하는데, 특히 다른 사회의 관습에 대해 고정관념과 편견을 가지는 것 또한 습관이 판단력에 미치는 영향 때문임을 강조한다. 여기에는 서로의 관습이 가진 고유의 가치를 인정하는 상대적 시각이 요구된다. 한편, 타자를 바라보았던 시각을 내부로 돌려보면, 몽테뉴는 한 사회를 결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관습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반대로 사회의 질서가 유지되는 것을 방해하고 체제를 동요시키는 개혁에 반대하는 입장을 보인다. 이처럼 몽테뉴에게 습관과 관습은 인간사회가 운영되고 지속되는 방식에 대한 다양한 내면적 모색이며 끊임없는 판단의 소재이다.

    영어초록

    Le chapitre “De la coutume et de ne changer aisément une loi reçue” (I, 23) est entièrementconsacré à la question de la coutume, thème fondamental dans l’étude du monde et del’homme que mène Montaigne et qui apparaît plus ponctuellement et plus secondairementdans les autres chapitres des Essais. Ce chapitre illustre parfaitement la méthode dont useMontaigne pour aborder un sujet et la manière dont il choisit des exemples pour nourrir laréflexion.
    Montaigne commence par présenter de nombreuses et diverses habitudes et coutumes, issuesde sa propre expérience ou retirées de ses vastes lectures des auteurs anciens et contemporains,en particulier des historiens comme Hérodote et López de Gómara. C’est ce matérielqui lui dévoile la grande et extrême diversité des manières de vivre de l’être humain etlui permet de réaliser en même temps sa propre singularité.
    Il en vient dès lors à réfléchir sur la force de la coutume qui s’exerce autant sur le corps quesur l’esprit. Il s’inquiète en particulier de sa capacité à imposer des préjugés aveugles au jugementet insiste, en conséquence, sur la nécessité de reconnaître l’autre dans sa différence pourparvenir à un regard plus lucide sur sa propre société et sur soi. Ce relativisme gagné contrel’emprise de la coutume ne justifie cependant pas, pour Montaigne, une quelconque réformede la société car un tel bouleversement apporte nécessairement une instabilité trop dangereusepour la paix sociale.
    Ainsi, le thème de la coutume permet à Montaigne de développer une réflexion mesuréesur la relativité des modes de vie, sur la lucidité de l’être humain et sur l’ordre soci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코기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