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訓借 표기 기반 日本 國字와 音借 표기 기반 韓國 固有漢字에 대하여 (On Japanese Characters Based on Loan Meaning Transcription and Korean Authentic Chinese Characters Based on Loan Sound Transcription)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19.08
39P 미리보기
訓借 표기 기반 日本 國字와 音借 표기 기반 韓國 固有漢字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구결학회
    · 수록지 정보 : 구결연구 / 43호 / 193 ~ 231페이지
    · 저자명 : 이건식

    초록

    이 연구는 한국 固有漢字가 가지는 특성의 관점에서 일본 國字가 가지는 차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造字法의 유형 측면에서 한국 고유한자와 차별되는 일본 국자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한국 고유한자의 경우에는 조자법이 合字法에서 形聲에 의한 조자법으로 변모했으나 일본 국자의 경우에는 오늘날에 이르기까지도 會意字를 포함하여 合字法을 유지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일본 국자의 조자법이 訓借 表記法에 기반을 두고 있어서 일본 국자가 오늘날까지 합자법의 조자법을 유지하게 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아울러 이 연구에서는 形聲에 의한 조자법으로 변모한 한국 고유한자는 音借 表記法에 기반을 둔 것임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훈차 표기법에 기반한 일본 국자의 경우에는 ‘自國語 表記, 作成 主體의 다양성, 의미의 인코딩 수단’ 등의 특성을 가지나 음차 표기법에 기반한 한국 고유한자의 경우에는 훈차 표기법으로부터 파생된 특성을 가질 수 없음을 주장하였다.
    일본 국자 ‘凩(こがらし, 초겨울이나 늦가을의 찬바람), 凪(なぎ, 바람이 없어 바닷물의 풍랑이 없음), [几雪](ふぶき, 눈보라), 颪(おろし, 산에서 내려 부는 바람)’ 등은 ‘바람’ 관련 語彙場의 어휘를 일본 국자로 표현한 것인데, 이 연구에서는 일본 국자가 가지는 이러한 특성이 자국어 표기를 위한 노력에서 유발된 것으로 파악하였으며, 이러한 자국어 표기 특성을 일본 국자가 가지는 훈차 표기법의 부가적인 특성으로 파악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일본 국자가 가지는 일본어를 多重的으로 造字하는 특성이 일본 국자의 작성 주체의 다양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즉 ‘단풍’을 뜻하는 일본 국자에는 ‘[木/赤], [木/丹], [木/色], 椛’ 등이 있는데, 이것은 일본 국자의 다중적 조자법 특성을 말하는 것이며, 이 특성은 작성 주체의 다양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일본 국자가 가지는 작성 주체의 다양성은 일본 국자가 가지는 자국어 표기의 부가적 특성으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일본 국자의 다중적 조자법이 『新撰字鏡』에 나타나는 것을 근거로 일본 국자 작성 주체의 다양성이 오래 전부터 유지되어 온 것임을 언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일본 국자의 조자법이 오늘날까지도 現在性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 일본 국자가 의미를 인코딩(encoding)하는 수단에서 비롯된 것임을 언급하였다. 19세기 발명품인 人力車가 일본 국자 俥로 표현된 것은 일본 국자가 의미의 인코딩 수단임을 말해 주는 것으로 언급하였다. 또한 일본 국자가 가지는 의미의 인코딩 특성도 훈차 표기의 부가적 특성임을 언급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distinct properties of Japanese characters from a viewpoint of Korean authentic Chinese characters.
    In this study, it was disclosed that in respect of word formation, the word formation of Korean authentic Chinese characters was transformed from compounding into word formation depending on forms and sounds, by contrast, that of the Japanese characters retains compounding including ideographic characters up to the present.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Japanese characters have maintained the word formation of compounding by reason of the fact that its word formation of Japanese characters is based on loan meaning transcription. In addition, it was verified that the Korean authentic Chinese characters were transformed by the word formation based on forms and sounds.
    As a result, this study revealed the The Japanese characters based on loan meaning transcription have the properties of items, which are the transcription of native language, the variety of agent writing and the ways of encoding meaning.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authentic Chinese characters based on loan sound transcription can not have the properties derived from loan meaning transcription.
    The Japanese words,‘凩(こがらし, a cold wind of early winter or late fall), 凪(なぎ, no wind and waves on the sea because of no wind), [几雪](ふぶき, blizzard), and 颪(おろし, a wind blowing down from a mountain)’ are vocabulary from the lexicon regarding ‘wind’which are transcribed in the Japanese characters. This study disclosed that these properties were originated from the efforts for transcribing the native language, Japanese and these properties of Japanese transcription are additional ones of loan meaning transcription.
    This study also illustrated that the Japanese characters have the property of multiple word formation and this is originated from the variety of agent writing. In other words, there are Japanese characters such as ‘[木/赤], [木/丹], [木/色], 椛’, which mean‘autumn leaves.’These show the property of multiple word formation in Japanese characters. Furthermore, this represents the property of the variety in agent writing. Moreover, the variety of agent writing which the Japanese characters have can be identified as an additional property of Japanese transcription. In addition, this study mentioned that based on 『新撰字鏡』, the fact can be justified that the multiple word formation of Japanese characters has retained the variety of agent writing for a long time.
    In this study, it was mentioned that the word formation of Japanese characters has the property of keeping the present aspect and this is starting from the ways of encoding meaning in Japanese characters It was also mentioned that illyeogeo(人力車), which is an invention of the 19th century, is transcribed into geo(俥) in the Japanese character and this reveals the Japanese character plays a role of a way for encoding meaning. Also it was mentioned that the property of encoding meaning which Japanese characters have is also an additional property of loan meaning transcrip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결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