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국 일본’의 이미지 변천사 -중세 일본의 국토 표상과 관련하여- (A History of the Image of ‘Japan as the country of god’:concerning an Emblem of the National Territory in the medieval Japa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13.05
28P 미리보기
‘신국 일본’의 이미지 변천사 -중세 일본의 국토 표상과 관련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문화연구 / 53호 / 37 ~ 64페이지
    · 저자명 : 배관문

    초록

    본고는 일본의 대명사로서 널리 쓰여 온 ‘신국(神国)’이라는 표상이 고대부터 연원을 가지며 특히 중세의 몽고 침입을 계기로 형성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그 후 ‘신국’ 사상은 끊임없는 해석과 변용을 거쳐 근대 이후가 되면 국가신도에 의해 천황제와 결부되고, 태평양 전쟁 당시에는 가미카제(神風) 특공대와 같은 극단적인 예가 보여주듯이 살아있는 신화로서 기능하는 모습까지 보인다. 흔히 생각하는 ‘신국 일본’ 역시 근대 이후에 재생산되어 이런 식으로 고정화된 이미지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본고는 ‘신국 일본’이라는 관념이나 이미지 자체가 결코 자연발생적이고 자명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구체적으로 13∼14세기의 중세 일본에서 ‘신국’ 사상이 형성될 무렵 다양하게 전개되는 이미지 중에서도 주로 그것이 국토 표상과 관련하여 발전해가는 모습에 주목했다. 그것은 당시 ‘신국’에 대해 언급한 문헌자료들의 언설이 무엇보다 세계인식, 타자인식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로 중세에 유통되었던 일본지도 및 세계지도를 살펴본 결과, 경계에 대한 관심, 불교적 세계관에 입각한 국토 이해, 그리고 국토 주변을 용으로 대표되는 신들이 수호하고 있다는 의식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서 국토라는 경계를 발견함과 동시에 외부를 강하게 의식하는 계기가 만들어짐에 따라, ‘신국’은 단지 일본의 자국 이미지에 그치지 않고 동아시아의 문제로서 부각될 수밖에 없는 가능성을 내포하게 되었다. 이러한 것들이 사실 근대 이후까지 계속되는 가미카제와 ‘신국 일본’론의 기반으로 작용했다고 할 수 있다. 단 유의할 것은 중세라는 시대적 특징과 그 안에서 ‘신국 일본’론을 고수하며 발전시킬 수 있었던 내부적 요인 등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무비판적으로 사상의 일면만이 대외전쟁의 문맥에서 이용되어왔다는 점이다.

    영어초록

    This is a study to examine the process in which the emblem of ‘the country of god’, a widely-used emblem as a pronoun of Japan, has its roots in ancient times, and especially, it has formed itself after the Mongolian invasions in the medieval Japan. Since then, the idea of ‘the country of god’ has gone through incessant interpretations and metamorphoses so that it came to be associated with the emperor system by Shinto, the national religion of Japan, and in the middle of the Pacific War, functioned as a living myth as shown in the extreme example of the Kamikaze suicide pilots. Actually, up to the defeat in the war, the government-designated textbooks of Japan specified Japan as ‘the country of god’ as if it were natural. As for the reason why it deserved to be called ‘the country of god’, they backed up their claim by explaining that the territory of Japan is protected by gods including Amaterasu, the sun-god; as a descendant of the god of heaven, the Japanese emperor himself is a god; and related to Shintoism, there exist shrines throughout Japan. The much popularized notion of ‘Japan as the country of god’ should not be much different from this stereotyped image which has been reproduced since the modern era. But the present study aims to elucidate that the idea and image of ‘Japan as the country of god’ are never a spontaneous nor self-evident phenomenon. Among a variety of images unfolded at the time when the idea of ‘the country of god’ was being shaped in the medieval Japan of the 13th to 14th century,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the phases of its development in association with the emblem of national territory. As the discovery of the national territory served as a momentum to have a strong sense of awareness of the outside, ‘the country of god’ not only signified Japan’s own image but inevitably came to imply a potential to emerge as an East Asian issu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