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윤동주 시의 시간의식 -발터 벤야민의 시간 개념과 관련하여- (On the Time Consciousnss in the Poems of Yun Dongju -With reference to Walter Benjamin’s concept of time-)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18.06
31P 미리보기
윤동주 시의 시간의식 -발터 벤야민의 시간 개념과 관련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22권 / 2호 / 85 ~ 115페이지
    · 저자명 : 이혜원

    초록

    이 논문에서는 발터 벤야민의 독특한 시간 개념을 참조하여 윤동주 시의 시간의식을 새롭게 조명해본다. 벤야민은 메시아주의를 바탕으로 진보적 역사철학과 대비되는 초월적이고 불연속적이고 주체적인 시간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종교적인 면과 역사적인 면, 내면성과 저항성을 대립적으로 파악했던 윤동주 시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과 달리 이러한 윤동주 시의 이질적인 측면들을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점검해본다.
    윤동주의 시에는 객관적 현실을 반영하는 역사적 시간과 그와 전혀 무관하게 종교적 시간이 지배하는 탈 역사적 시간이 병존한다. 역사적 시간에 속해 있는 시적 화자는 암담하고 고통스러운 시대를 살아가는 무력한 개인으로서 비애를 토로한다. 반면에 종교적인 배경을 가진 시들에서는 절대적인 존재의 위력이 작용하는 ‘다른’ 시간에 대한 상상을 드러낸다.
    기억은 탈 역사적인 구원을 가능하게 하는 개인적인 실천의 행위이다. 윤동주의 시는 지배적인 시간의 이면에 놓인 실패하고 버려진 시간들을 기억을 통해 되살린다. 벤야민이 그랬듯이, 윤동주 역시 기억을 통해 과거를 현재와의 연속성에서 벗어나 있는 예외적 시간으로 새롭게 경험하며, 아직 종결되지 않은 행복의 가능성과 다가올 구원의 가능성을 열어놓는다.
    윤동주는 역사적 시간의 바깥에서 잃어버린 시간을 찾는 새로운 길을 자신의 소명으로 받아들이게 되면서 내면의 갈등을 넘어 결연한 의지에 도달하게 된다. 억눌리고 죽어가는 것들을 사랑하고 되살리는 이러한 시적 시간은 벤야민의 ‘지금시간’과 마찬가지로 역사적 시간에 균열을 내는 혁명적 시간이라 할 수 있다.
    윤동주는 역사적 시간의 중압을 체감하면서 그것을 초극할 수 있는 새로운 시간을 꿈꾸었다. 승자의 역사에서 억압된 삶을 기억하고 되살려내는 그의 시적 시간은 미학과 윤리를 탁월하게 결합하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처절한 내면의 고투 끝에 윤동주가 도달한 소명의식과 새로운 시간과의 조우는 우리 현대시사에서 기억할 만한 인상적인 장면에 해당한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study the time consciousness of the poem with reference to Walter Benjamin’s unique concept of time. Benjamin presents transcendental, discontinuous and independent time that is against progressive historical time, based on messianism.
    The poems of Yun Dongju reflect coexistence of historical time and post-historical time. The poetic speaker, who belongs to historical time, expresses sorrow as a helpless individual who lives in a dark and painful time. On the other hand, poems with religious backgrounds reveals the imagination of ‘other’ time that the power of absolute existence acts.
    Memory is an act of personal action that enables post-historical salvation. In Yun Dongju’s poems, the failed and abandoned time that lies behind the dominant time is resurrected by memory. Like Benjamin did, through his memory, Yun Dongju revises the past as an exceptional time away from the present continuity, and opens up the possibilities of unfinished happiness and the possibility of coming salvation.
    When Yun Dongju comes to accept a new way of finding lost time outside of historical time as his calling, he gets to a determined will beyond internal conflict. Like Benjamin’s ‘Now Time’, this poetic time to love and revive the things that are being suppressed and dying is revolutionary time that cracks in historical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