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주 비중리사지 석조불상 연구 - 조성 국가의 파악과 관련하여 - (A Study on the Stone Buddha Statues from Bijung - ri Temple Site, Cheongju: Focusing on Country of Origin)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16.09
38P 미리보기
청주 비중리사지 석조불상 연구 - 조성 국가의 파악과 관련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90291권 / 290291호 / 5 ~ 42페이지
    · 저자명 : 김춘실

    초록

    청주 비중리사지에서 전하는 석불상들은 발견 당시부터 고구려 불상양식을 보이는 상들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상의 편년이 6세기 중엽 내지는 후반으로 추정되면서, 이 지역이 당시 신라에 속했던 관계로 고구려양식으로 제작된 신라불상, 또는 삼국 양식이 혼재된 불상 등으로 다양한 의견이 개진되었다. 다만 상이 많이 파괴된 관계로 이후 깊이 있는 연구가 진행되지 못했고 사람들의 관심에서 다소 멀어진 감이 있었다. 그러나 이 석불상들은 삼국시대 불상으로서 여전히 그 중요성이 막중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근래에 이 석불의 인근한 곳인 증평의 남하리사지에서 또 다른 삼국시대 마애불상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그동안비중리 석불상만을 중심으로 언급되던 삼국시대 청주지역의 상황을 보다 적극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처럼 비중리사지 석불상은 6세기 청주지역에서 삼국의 대치 상황을 밝혀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일뿐 아니라, 가장 고식을 보이는 삼국시대 석불이므로 한국조각사에서도 매우 중요한 상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비중리 석불상들에 대한 보다 세밀한 형식 및 양식고찰에 집중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비중리 석불상들을 세부로 나누어 도상 및 조각양식상 특징을 고찰하였고, 이후는 이들을 아우르는 전체 모습으로 다시 보다 폭 넓게 중국 및 삼국시대 불상들과 비교 고찰하였다.
    이러한 고찰의 결과 먼저 석조삼존불상은 석불로서 규모가 클 뿐 아니라 특히 도상과 양식면에서 현존하는 삼국시대 불상 중에서 뚝섬출토 금동불좌상이나 장천리 1호분 예불도의 불좌상 다음으로 올라가는 상으로 판단되었다. 즉 시무외 여원인의 여래좌상을 본존상으로 하면서 5세기로 소급되는 須彌座의 사자좌인 대좌 양식, 그리고 보살상의 6세기적 양식 특징에 덧붙여 보다 고식인 작은 구슬이 달린 목걸이와 정병을 들고 있는 수인이 표현된 점, 그리고 고식의 원형광과 화불의 양식 등으로 볼 때 현존하는 삼국시대 불상 중에서는 비교 예가 없는 5세기 말에서 6세기 전반의 北魏 양식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여래입상의 경우는 그와 같은 고식 상이기는 하나 조각수법이 너무 둔중한 감을 보여서, 혹시 뒤이어 이 지역에 들어온 신라에 의해 조성된 상이 아닌가 생각될 정도이다.
    따라서 석조삼존불상의 경우는 충분히 6세기 전반으로 편년될 수 있으며, 또한 그와같은 양식은 지금 현존의 예는 없지만 고구려 불상에서만 가능한 특징이므로 조성 국가도 고구려로 판단되었다. 이는 상의 양식과 조성국이 일치한다는 점에서도 보다 합당한 결론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리고 비중리 불상의 모델이 되었던 상은 중국상들과 비교해 볼 때 삼국시대 고구려 금동불들과 많은 연관이 언급되었던 山東地域 불상 보다는 북위의 중앙지역 불상들과 깊은 연관을 보이는 상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비중리 석불상과 인근한 곳에서 전하는 남하리사지 마애불상은 삼존불과 독존의 편단우견 여래입상, 그리고 반가사유상 등이 새겨져서 7세기 신라의 불적으로 추정되었다. 그런데 신라는 6세기에 경주에서조차 불교미술이 미흡했으므로, 신라의 북진과 연관된 청주지역의 불적은 이곳 남하리사지 불상이 보다 합당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남하리사지 불상과의 비교 고찰로 볼 때도 비중리 석불상은 고구려에서 조성한 불상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비중리 석불상이 조성될 수 있는 역사적 상황은 상의 편년 고찰에서 도출된 6세기 전반에 고구려가 이 지역을 비교적 안정적으로 지배하면서 조성된 상으로 파악하였다.
    이상의 고찰로 보면 비중리사지 석불상들은 우리나라 불교조각사에서 매우 중요한 상임을 알 수 있다. 현존하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석불상인 동시에, 현재는 없어진 고구려의 초기 불상의 한 예를 복원해 볼 수 있게 해주는 상이기 때문이다. 특히 현존의 고구려 좌불상들은 모두 선정인의 상 뿐인데, 비중리 삼존상을 위시하여 고구려와 연관을 보이는 충주 가금면 마애불상은 시무외 여원인 여래좌상이다. 이로 보면 시무외 여원인 여래좌상 형식도 고구려에서 유행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일찍이 고구려 영향권에 있었던 경상도 북부지역인 봉화, 영주지역에 집중적으로 남아 있는 마애삼존상들의 고구려와의 관련이 주목된다.
    한편 더 멀리 일본 飛鳥時代 대표적 불상양식인 止利樣式의 성립에 미친 고구려 불상의 영향도 생각하게 된다. 일본 飛鳥時代의 대표적 불상인 法隆寺 金堂 釋迦三尊像(623년)을 위시하여 止利樣式의 불상들 중에는 시무외 여원인 여래좌상을 본존상으로 하는 삼존상이 다수 있기 때문이다. 상호 관련의 배경으로는 聖德太子의 스승이었던 고구려승 惠慈 뿐 아니라 많은 양국의 인적, 물적 교류가 다수 있었던 점이 지적된다.

    영어초록

    Ever since their discovery, the stone Buddha statues at the Bijung-ri temple site in Cheongju were known as the Goguryeo style statues. However, as they were dated to the mid or late sixth century, various opinions have been suggested. Some propose that the statues are the works of Silla made in the Goguryeo style, mostly because the region belonged to the Silla during the period. Others think that various styles of the Three Kingdoms coexist in the statues. These statues are important works as the production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recent discovery of another Buddhist image on the rock surface of the Namha-ri temple site in Jeungpyeong makes it possible to consider the artistic trends in Cheongju region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a more profound way.
    The Bijung-ri statues are important references that shiow how the Three Kingdoms were active in the area of Cheongju during the sixth century. At the same time, they display the most archaic style, which makes them even more important in the study.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formal and stylistic analysis of the statues, and places the Bijung-ri statues in a larger context in order to compare them with other images made in contemporary China and the Three Kingdoms.
    As a result,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Bijung-ri triad is relatively large in size, and that it is the second oldest statues in Korea after the gilt bronze Buddha statue from Ttukseom or the painted Buddha image in Tomb No. 1 at Jangcheon-ri in terms of iconography and style. In other words, several features of the statues lead us to conclude that they fully embrace the Northern Wei style: the combination of a seated Buddha image with abhaya and varada mudrās as a central figure and the Mount Sumeru type throne with lions which dates to the fifth century; the addition of the archaic style-necklace with a small pendant and a water bottle to the bodhisattva image of the sixth- century fashion; the archaic style of a round halo with small manifested Buddhas on it. The standing Buddha statue also displays the archaic style in the same way. However, the sculpting technique looks too dull to the extent that the piece is regarded to have been made by Silla, who later conquered the region.
    Accordingly, the stone triad can be dated to the first half of the sixth century and produced by Goguryeo, as the archaic styles displayed by the statues were available only in the Goguryeo during the period. I think it is a reasonable conclusion because the style of the statue corresponds to the country of origin. Moreover, as for the antecedent Chinese statues – the tentative model for the Bijung-ri statues, I propose that they are more closely related to the statues of the central region of the Northern Wei.
    Meanwhile, the Namha-ri images have been believed to be the works of the seventh century Silla, as they are composed of a Buddha image with his right shoulder uncovered and the Pensive Bodhisattva images. However, Buddhist art of the Silla during the sixth century was not conspicuous enough even in its capital, Gyeongju, and thus it is more reasonable to see that Buddhist works made by the Silla’s northern expansion is the Namha-ri images. A comparison with the Namha-ri images also leads me to think that the Bijung-ri statues were created by Gogyryeo. As for the historical context, I propose that the Bijung-ri images were made during the period when Goguryeo ruled the region in a rather peaceful mode in the sixth century.
    All the analyses confirm that the Bijung-ri images are of great value in Korean Buddhist art history. They are the oldest extant Buddha stone statues in Korea, and at the same time help us to reconstruct a type of Goguryeo statues of early period. Whereas all the extant seated Buddha statues of Goguryeo display meditation mudrā, Bijung-ri statues are all with abhaya and varada mudrās. This leads to the assumption that the latter type was also popular in Goguryeo. Related to this point, it is noted that that the rock-carved Buddha images in the northern part of the Gyeongsang Province such as those in Bonghwa and Youngju areas could have been linked to Goguryeo.
    Furthermore, one should also consider the influence of Goguryeo statues on the establishment of the Tori style,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Buddhist art styles in the Asuka Japan. It is because many of the Tori style triads display the abhaya and varada mudrās, including the Shaka Triad (623) in the Golden Hall of Hōryūji temple. As for the background of mutual relationship, the great deal of exchange of personal and material resources between two countries and the presence of Hyeja, a Buddhist master from Goguryeo who served as the mentor of Prince Shōtoku can be considered.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8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