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략적 체험모듈 기반 고관여 인지반응기제 브랜드 공간디자인 연구 (A Study on Brand space design of high involvement products’Cognitive Response Mechanism based on Strategic Experiential Modules)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20.10
14P 미리보기
전략적 체험모듈 기반 고관여 인지반응기제 브랜드 공간디자인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5권 / 7호 / 237 ~ 250페이지
    · 저자명 : 진상호, 최익서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에 이르러 브랜드 이미지와 가치 전달을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브랜드 공간을 통해 이루어 지고 있다. 브랜드 공간 계획의 중요 역할은 단지 브랜드가 소비자들에게 말하고자 하는 바를 기획ᆞ구축하는 것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체험을 통한 인지반응과 결과, 즉 메시지를 커뮤니케이션의 흐름 속에서 구현시키는 것이다. 본 논문은 브랜드-소비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프레임을 이해ᆞ구축하여 브랜드 공간의 적용을 통해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유도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논문의 이론적 배경은 번 슈미트가 제시한 전략적 체험 모듈과 인지반응체계를 기반으로 하며, 본 연구자는 소비자 체험의 자극요소와 소비자 반응의 관계를 살펴보도록 한다. 브랜드와 소비자의 커뮤니케이션은 메시지의 전달과 그를 지원하는 환경 그리고, 소비자의 인지반응 과정의 흐름 속에서 존재하며, 소비자의 인식과 반응을 예상한 메시지의 효율적인 전달을 위한 채널 즉, 환경의 조성이 중요한 요인임을 고찰한다. 따라서 브랜드 이미지 및 충성도 증진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식은 체험에 의한 마케팅 방식임을 인지하고, 이에 대한 다양한 체험 방식의 종류 및 이론적 근거를 고찰한다. 최근 제품의 복잡도가 늘어남에 따라, 대부분의 고관여 제품 브랜드는 소비자에게 더욱 직접적으로 다가가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늘리는 추세이다. 이러한 트렌드를 고려하였을 때, 브랜드 체험 공간은 브랜드 이미지와 충성도를 향상시키는 중요한 메시지 전송 채널로 부상하고 있다. 브랜드 공간 디자인의 정교화를 위해, 소비자가 다양한 체험을 통해 반응하는 과정과 세부적인 인지반응의 종류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또한 소비자 체험이 중심이 되는 고관여 제품 기반 브랜드 체험 공간의 사례 연구를 통해 각각의 체험요소와 인지 반응의 관계를 고찰하도록 한다. (결과) 본 연구방법을 통해 소비자의 반응 과정에 기반한 자극의 체계를 계획하고 구축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각 체험의 특성들은 여러 인지 반응을 도출할 수 있기 때문에, 체험의 설계에서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자극의 구조화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현대에 이르러, 소비자의 욕구와 인식은 다양화ᆞᆞ·다변화하고 있으며, 기업의 브랜드 스페이스에 대한 브랜드 이미지 강화 및 충성도 상승을 위한 체계적이고 구조화된 계획과 설계의 수립은 필수적인 상황이다. 따라서 각 체험의 특성에 따른 반응의 상관성에 기반한 커뮤니케이션의 흐름 속에서 소비자 반응에 대한 연구와 이를 위한 기제의 설계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there are so many attempts to deliver brand image and value to customers through brand space. The key role of planning brand space is not only planning and building up the brand’s message but also realizing their intention and messages in the communication flow which is the result of the cognitive response by customer experience.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and build up a communication frame between customers and a brand and induce a positive responsive to customers by the application of it. (Method) The background of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Strategic experiential modules by Bernd H. Schmitt and the cognitive response system. Base on it, the researcher plans to look into the relations between stimuli factors of the customer experience and their responses. It is reviewed that the communication between Consumers and Brands exists in the flow of delivering the message and affordable environment and consumer’s cognitive response process. Therefore a key factor, a brand space which is one of important channels to convey the brand message effectively to predict consumer’s response is examined. Additionally, because of recognizing customer experience marketing is one of best effective solutions to improve brand image and loyalty, various experiential methodologies and theoretical bases are plan to be reviewed. According to increasing the high complexity of products recently, most high involvement product brands try to expand communication channels to reach consumers directly. Considering this trend, Brand experience space rises up as a major messaging delivering channel. The cognitive response process by various customer experiences and the detail of cognitive response process will be examine for the elaboration of brand space design. Finally, the relation between each experiential factor and the cognitive response will be reviewed by case studies of high involvement product brand’s experience space to be focused customer experience. (Results) It is important to plan and set up the stimuli system based on customer’s cognitive response by this research’s frame work. Because various cognitive responses can be followed by experience factors, a core procedure which is offering the structuralization of stimuli in experience planning is confirmed. (Conclusions) Lately customer’s desires and awareness for each brand is getting diversified. Therefore it is an essential to set up the systematic and structural plan for brand experience space based on theories of the cognitive response and strategic experiential module in order to enhance brand image and loyalty. Accordingly it has to be activated to study a research for customer response and its stimuli plan in the communication flow based on the relation of customer response according to each experience’s characterist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4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