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원(柿園) 김기동 선생의 고소설 발굴 성과에 대하여 (Regarding the Outcome of Classical Novel Discovery of Siwon Kim Gi-dong)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17.04
24P 미리보기
시원(柿園) 김기동 선생의 고소설 발굴 성과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연구 / 53호 / 39 ~ 62페이지
    · 저자명 : 유춘동

    초록

    시원(柿園) 김기동(金起東, 1926~1986)은 한국전쟁 이후, 고소설 연구가 본격화 되면서 이 분야의 초석(礎石)을 놓았던 1세대 고소설 연구자이다. 그는 1980년대 고소설 400여 편을 발굴하여 학계에 존재를 알렸다.
    그러나 이러한 시원 선생님의 연구 성과와 수집의 과정은 자세히 다루어지지 못했다. 이 글은 이러한 과정과 내용을 논의했다. 먼저, 시원 선생의 고소설 발굴 과정, 연구의 주요 방법론, 저서가 지닌 의미 등을 기준으로 (1) 『국문학개론』간행 전후기(1955), (2) 『한국고대소설개론』의 간행 전후기(1956), (3) 『이조시대 소설론』의 간행 전후기(1959), (4) 『이조시대 소설의 연구』의 간행 전후기(1974), (5) 『한국고전소설연구』의 간행 전후기(1981), 다섯 시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1세대 고소설 연구자로서 시원 선생의 위상은 나손, 천봉 선생과 비교를 통해서 분명하게 자리매김할 수 있다. 시원 선생의 차별적이면서도 두드러진 업적은 연구자들에게는 연구의 기반을 마련해주었고, 일반인들에게는 연구 성과를 공유하기 위해서 끊임없이 노력했다는 점이다.
    시원 선생은 자료의 발굴, 자료의 독파, 내용(줄거리) 제시 및 고소설사적 의미라는 연구의 큰 방향을 설정한 뒤, 먼저 모리스쿠랑과 김태준이 언급했던 자료를 발굴, 독파의 대상으로 삼았고 이를 찾아내기 위하여 국립중앙도서관, 각 대학의 도서관, 개인 소장본 등을 찾아다녔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 결과가 정리될 때마다 단행본으로 연구 성과를 제출했다.
    단행본은 간행할 때마다 다른 모습을 선보였다. 새로운 이본을 내용에 추가했고 최신 연구 성과를 반영하기도 했다. 이렇게 30여 년 간, 소신을 갖고 새로 발굴하고 정리했던 고소설은 모두 400여 편이다. 이 글은 이러한 내용을 다루었다.

    영어초록

    Siwon Kim Gi-dong(1926~1986) was one of the first generation researchers of classical novel that laid down the foundation in the field of the classical novel research after the Korean War. His name in his accomplishment or in the research history of classical novel has been mentioned all the time when the classical novel research outcome is reviewed on periodic basis.
    However, it would be true that his academic accomplishment has not really been spot-lighted as his works are described in bundle with other researchers of his time, such as, Na Son, Kim Dong-uk, Cheon Bong, and Lee Neung-woo, and even if his publication was mentioned, it would be a brief description for its implication.
    Today, after approximately 30 years since his death, only way to find out the academic outcome of Siwon would be restructuring by facilitating the critiques on his monograph by the scholars of his time regarding monograph, various internet data to confirm from various press media and so forth in a dimensional way. Pursuant to five volumes of monograph in the process of classical novel discovery, main methodology, implication of publications, it could be divided into five periods of (1) pre and post of publication of The Introduction to Korean Literature (1955), (2) pre and post period of publication of The Introduction to Classical Novel of Korea (1956), (3) pre and post period of publication of Novel Theory in Yijo Dynasty (1959), (4) pre and post period of publication of Yijo Dynasty Novel Research (1974), and, (5) pre and post period of publication of Classic Novel Research of Korea (1981).
    Siwon established a great scheme of his study in “presentation of data discovery, reading of data, and presentation of contents (main theme) and classical novel implication” and then set the subject of data mentioned by Maurice Courant and Kim Tae-jun for the discovery and reading, and he personally sought to find the foregoing by visiting National Library, university libraries, personally possessed publications and so forth. And, each time such a research result is summarized, the study outcome has been submitted in the monograph. The monograph has shown different looks each time it is published. New editions add the contents and the recent research outcome are also reflected as well. As such, those classical novels that are newly discovered and summarized with conviction for approximately 30 years would reach approximately 400 pieces. This article has handled such cont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