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洪忠平公事蹟考』에 실린 「圖蹟」에 대하여 (About the DoJeok(woodblock prints) of Hong Chungpyeonggong sajeokgo(Reviewof historical facts about Hong Gwan, the Lord Chungpyeong))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14.12
29P 미리보기
『洪忠平公事蹟考』에 실린 「圖蹟」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태동고전연구 / 33권 / 195 ~ 223페이지
    · 저자명 : 임노직

    초록

    조선은 유교를 국가의 이념으로 삼아 유교를 철저하게 신봉하였다. 유교적 윤리는 전통사회의 문화발전과 민중 계몽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그 내용은 대부분 공동체 원리에 따른 충효 사상과 개인적 삶의 원리에 따른 수양의 논리로 일관한다. 특히 충의(忠義)는 유교의 기본 윤리강령으로 유교를 정치이념으로 하는 조선에서 사회질서를 유지하는 규율로 인식되었다.
    『홍충평공사적고』는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충신으로 알려진 홍관(?~1126)의 행적과 관련 자료를 모은 기록으로 후손 홍병철이 편찬한 책자다. 이 책의 권5에 수록된 「도적(圖蹟)」은 시각적인 매체와 찬미의 글로 홍관의 탁월한 충의 정신을 재현한 것이다. 그림은 모두 여덟 장면인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사건의 전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각각의 장면에는 홍관의 충절과 관련된 특이한 사실을 포착하여 회화적 특성을 살려 함축적 의미를 담았다. 체재는 각 항목마다 사실을 먼저 그림으로 나타내고 그 다음 행적을 기록하고 마지막으로 ‘찬(贊)’을 싣고 있다. 시각적 구성은 그림과 그림에 대한 한문 서술, 그리고 ‘찬’으로 되어 있다. 다만 제3도 「진연륵석도」와 제6도 「신봉배위도」는 그림만 실려 있고 서술과 찬문은 존재하지 않는다.
    「도적」은 유교적 질서의식에서 윤리적 교육을 하기 위한 의도에서 제작된 것이라 볼 수 있다. 조상에 대한 추모, 절의(節義) 정신의 구현, 감흥의 교화 등을 담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도덕적 의무와 각성을 촉구한다. 즉 인심의 퇴폐를 우려하면서 교화서 보급을 통해 유교적 충의 정신의 부흥을 목표로 삼았다. 그것은 또한 내면적으로 조상 숭배의식과 맞물려 문중의 위상과 지위를 격상하고 유지하기 위한 방편으로 활용되었다. 「도적」의 기능은 조선사회의 윤리 교육 목표를 제시한 시각적 교과서로서 사회적 교화의 역할뿐만 아니라, 남양 홍씨의 가격(家格) 상승과 아울러 문중 구성원간의 결속을 다지는 기제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영어초록

    During the Joseon Dynasty, Confucianism was regarded as a prime ideology. Ethical standards of confucianism had a huge influence on the cultural development of traditional society and people’s enlightenment. The ethical standards have consistency on the thought of filial piety according to community spirit, and on the self-discipline according to an individual life. Loyalty, in particular, was considered as a social discipline that maintain the public order in the Joseon Dynasty where Confucianism was a fundamental ideology.
    Hong Chungpyeonggong sajeokgo is a collection of records of Hong Gwan(?~1126) who was one of the loyal officials during the Goryeo Dynasty published by his descendant Hong Byoung Chul. DoJeok, the woodblock print, in Vol. 5 shows Hong Gwan’s genuine loyalty with visual materials and writings of praise. There are eight woodblock prints in chronological order, which help us understand the full story. Each scene captures the unique facts of him and contains a connotative meaning. In regard of basic format of the collection, woodblock prints which describe the fact of certain events come first and then written records follow. And ‘Chan(贊)’, the comment of the events, comes last. Regarding the visual format, it is consist of prints, description of the prints and ‘Chan.’ Only woodblock print no.3 <Jinyeoreuksukdo> and no.6 <Sinbongbaewido> don’t have description and Chan.
    The purpose of Dojeok was to educate people in social turmoil. it contains ancestor commemoration, fidelity embodiment and educational work. Also it has historicity insisting moral awareness. In other words, this collection was published to reestablish Confucian spirit. It was also used as a method to elevate and maintain the status of family clan. Dojeok was not only the visual guide that suggested the goal of ethical education in Joseon Dynasty but also the symbolic value that raised the status of Namyang Hong Clan and strengthen the family cl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태동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