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범어범패 연구Ⅰ - 범어범패의 장르적 특성에 관하여 - (A Study on Mantra Chanting Ⅰ)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16.12
27P 미리보기
범어범패 연구Ⅰ - 범어범패의 장르적 특성에 관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연구 / 60권 / 207 ~ 233페이지
    · 저자명 : 윤소희

    초록

    한자로 된 어산범패와 달리 범어범패는 태생지역인 인도와 직결되므로 어산범패와 다른 각도에서 접근되어야 하는데도 그동안 학계에서는 한어범패와 범어범패에 대한 장르적 구분 없이 연구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한어범패와 다른 범어범패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범어범패의 연원과 사적 배경 및 그 전파 과정과 한반도 유입에 따른 전반적인 내용을 고찰하여 불가에서 관습적으로 써온 ‘범음’ ‘어산’이라는 말이 힌두사제들의 음성행법과 연결되는 범어범패와 중국에서 발생한 한어범패로 차별되어야 함을 밝히므로써 앞으로 이 방면 연구의 초석을 마련하였다.
    팔리경전을 최초로 문자화한 스리랑카를 비롯하여 동남아와 중앙아시아를 지나 중국․티벳․한국․그리고 산스크리트의 첫 글자로 수행하는 일본의 아자관(阿字觀)에 이르기까지 관통하는 공통점은 고대 인도어인 범어이다. 불타의 설법은 천여년간 문자 없이 구전되었으므로 그의 설법을 암송하는 범어율조는 불교경전과 범패연구의 근본토대이다. 지금까지도 문자가 없어 범어발음을 음사한 팔리어 경전을 쓰는 남방지역에는 암송 문화가, 산스크리트 문자를 받아들인 북방은 자문수행(字門修行)과 사경(寫經) 문화가 발달해있음을 본고를 통하여 규명하였다.
    산스크리트어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 여러 계통의 언어가 있으나 한․중․일은 같은 실담범자를 받아들였으므로 오늘날 중국․한국․일본은 동일한 다라니와 진언을 송주하는 경우가 많다. 진언과 다라니를 가사로 하는 범어범패는 본래의 음을 지니고 전파되었는데, 한어범패와 달리 번역의 과정이 필요치 않았으므로 한어범패 보다 훨씬 이른 시기에 한반도에 유입되었고, 그것의 대표적인 사례가 『삼국유사』에 전하는 월명사의 ‘성범(聲梵)’에 관한 기록이다.
    그런가하면 북방의 실담 산스크리트어와 남방의 팔리어의 송주 율조도 동시대의 고대인도 언어에서 비롯되었으므로 ‘나모’와 같은 동일어가 있는가 하면, 법(法)을 이르는 담마․다르마와 같이 유사 발음이 있어 이들 율조에 대한 비교 연구 가능성을 열어 두었다. 발음의 진동을 중시했던 범어원리가 소리글자인 훈민정음 창제에 적용된 점에 비추어 볼 때, 범어율조는 조선시대 궁중음악으로, 범어의 주술적 속성은 민간의 무속음악에 이르기까지 관련이 있어 범어범패에 대한 연구는 한국전통 음악연구에도 기여하는 바가 클 것이다.

    영어초록

    The pierce clue is the language of ancient Indian through all of Asia, from the Pali sutra and Buddhism of Sri Lanka and South East Asia, to the practise of meditating with the first alphabet letter ‘A’ of Sanskrit in Japan's Shingon temple. In this study I researched the origin, background, process of transmission, and the present position of Korean Buddhist ritual music with regard to the study of mantra chanting. As a result, I discovered that there are sutra recitation activities which copied the sounds of the Pali language in Sri Lanka and South East Asia and that by contrast there are writings and Gen meditations characterized by the Sanskrit sutra of North East Asia.
    People have the strong belief in East and South Asia that Pali is Buddha's language. But recent scholars have raised doubts that Magada language spoken by Buddha and today's Pali are the same, because the words of Pali appear from the 12th century. Also, the Magada language was of the eastern region, but Pali hails from western India.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the pronunciation of melodies when remembering and reciting was significant, until King Ashoka invented the Sanskrit alphabet. Among those with direct lineage to ancient Sanskrit, the Siddhāṃ was transmitted to North East Asia by wandering monks. The characters of Siddhāṃ were used for the meadiation of enlightenment and for maintaining the people's regional sense. But these days study of the role of mantra chanting in its effect on Korean Buddhism is minimal. Further work needs to be undertaken.
    It is of great interest to compare the melodies and rhythms of mantra chanting within Asia because although each country's language is different, the letters are the same in the Siddhāṃ. For example, all Buddhists in North East Asia recite the same Avalokitesvara Dharani. Also, there are some clues between the culture of Siddhāṃ. The sutra and Pali culture among Korean monks is to wear brown gowns on their grey Korean topcoat. This same custom can be seen in the priest's robes in South East Asia, deriving from the custom of Buddha and his disciples in ancient India. So the mantras have the same root, and could prove the key to unlocking the secrets of Asian music and cul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