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외국인 고용허가제의 헌법위반성 여부에 대한 검토 (Review of the Constitutional Suitability of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24.06
28P 미리보기
외국인 고용허가제의 헌법위반성 여부에 대한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이민정책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이민정책학보 / 7권 / 1호 / 105 ~ 132페이지
    · 저자명 : 박진완

    초록

    (연구목적) 우리나라의 고용허가제는 내국인의 취업이 여의치 않은 국내 사업장의 부족한 노동력의 결핍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외국인 이주노동자의 단기간의 노동이주만을 허용하고 있다. 이주노동자의 장기적인 노동이주와 정주를 허용하지 않는 현재의 우리나라의 고용허가제 하에서 외국인의 노동이주와 이민을 전제로 한 외국인 이주노동자의 광범위한 인권보장의 요구가 헌법적으로 정당화될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헌법이론과 실무적 관점에서 연구검토를 수행하는 것을 중요한 연구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 우리나라의 고용허가제의 헌법적합성에 대한 법이론적 측면에서의 검토 뿐만 아니라 독일에서의 외국인 노동자 채용정책과정의 변화를 참조한 우리나라에서의 현실적 상황 변경에 대한 분석 그리고 우리나라 헌법재판소의 고용허가제 관련 판례들에 대한 판례비판적 평석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의 고용허가제와 관련하여 우리 헌법재판소는 두 개의 중요한 결정 속에서 이 제도의 합헌성을 인정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국인 근로자의 권리와 이익보장의 측면 뿐만 아니라, 한국인 사업주의이익 보장의 측면에서 외국인 근로자의 적법한 단기체류만을 인정하는 단기순환의 원칙(principle of rotation) 에 근거한 현재의 고용허가제의 기본권 침해성 뿐만 아니라 경제적, 사회적 현실적 적합성의 문제는 계속적인 법적 논의의 대상이 될 것이다(결론 및 제언) 우리나라는 노동허가제가 아닌, 상대적으로 이주노동자의 사업장 이동의 자유가 제한되는 고용허가제를 채택하여 부족한 노동력의 결핍을 충족시키기 위한 단기간의 노동이주만을 허용하고 있다. 이러한 이주노동자의 장기적인 정주를 허용하지 않는 현재의 우리나라의 이주노동자법체계하에서는 이주노동자의 장기거주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은 적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동허가제가 계속 유지되고 있는 한에서는 외국인고용허가제의 헌법적합성 여부에 대한 논의는 지속적으로 제기될 수 있다

    영어초록

    (Purpose) Constitutional theory on whether the demand for broad human rights guarantees for foreign migrant workers on the premise of labor migration and immigration of foreigners is constitutionally justified under Korea's current employment permit system, which does not allow long-term labor migration and settlement of migrant workers. An important research objective was to conduct a research review from a standpoint of constitutional theory and practical perspective.
    (Research methods) In addition to reviewing the constitutional suitability of Korea's employment permit system from a legal and theoretical perspective, we attempted to analyze changes in the realistic situation in Korea with reference to changes in the foreign worker recruitment policy process in Germany. In addition, a critical review of the precedent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regarding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was also conducted.
    (Findings) Regarding Korea's employment permit system, our Constitutional Court confirmed the constitutionality of this system in two important decisions. Nevertheless, the suitability of the current employment permit system based on the principle of rotation, which recognizes only legal short-term stays of foreign workers, not only in terms of protecting the rights and interests of foreign migrant workers, but also in terms of protecting the interests of Korean employers.
    Questions will continue to arise. In particular, issues of economic and social suitability of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as well as violations of the basic rights of foreign migrant workers by it will be the subject of continued legal discussion.
    (Conclusion and recommendations) The current employment permit system in Korea restricts practically the freedom of foreign migrant wokers to change workplaces by their own free will.
    They are forced to work in various harsh and dangerous working conditions and environments in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in Korea. With regard to it, there is a need to review whether the employment permit systesm has been violated principle of prohibition of forced labo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이민정책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6 오후